뷰페이지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돌아온 고려 미술의 정수, 나전칠기합/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돌아온 고려 미술의 정수, 나전칠기합/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입력 2022-02-06 20:32
업데이트 2022-02-07 1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코로나 팬데믹 와중에 아시아가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한류는 말하는 것조차 진부할 정도가 됐고, 구시대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던 아시아의 전통과 문화에 관심이 쏠린다. 돌봄을 중시하는 공동체의 가치가 어느 때보다 빛을 발하기 때문이다. 지난한 공동 작업에 기반한 아시아의 대표적 공예로 칠기를 들 수 있다. 아시아의 칠기 발달사를 한눈에 꿸 수 있는 ‘칠: 아시아를 칠하다’ 전시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칠기를 통해 아시아 각국이 어떻게 자신들의 미감에 맞게 공예품을 만들었는지를 확인시켜 주는 전시다. ‘칠기로 하나 되는 아시아’를 보여 줌과 동시에 저마다 다르게 발전시킨 기술과 색감을 감상할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칠기는 옻나무에서 채취한 옻을 물품의 표면에 칠한 공예품을 말한다. 옻나무 자체가 아시아에서만 자라는 것이어서 칠기도 아시아 고유의 산물이다. 옻칠을 하면 방수성과 방부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보통 목기보다 내구성도 훨씬 증가한다. 게다가 특유의 광택이 생겨서 미적 가치도 높아지는 장점이 있어 아시아에서는 아주 일찍부터 칠기를 만들었다. 중국에서는 신석기시대 칠기가 발견됐고, 우리나라에서도 경남 창원 다호리 등에서 청동기 시대 칠기가 발굴된 바 있다. 기본적으로 옻나무 수액을 바르는 것이라 나무뿐만 아니라 토기나 가죽, 금속에도 칠할 수 있다. 우리나라 칠기는 나전칠기, 흔히 자개라 부르는 것이 주류다. 옻칠을 하고 무늬를 파서 조개껍질을 상감하는 방식으로 만든다.
옻칠을 해서 아무리 내구성이 좋아진다 해도 목기는 목기다. 파손되기 쉬운 까닭에 우수한 공예 기술을 자랑하는 고려의 칠기는 매우 드물다. 전 세계에 단 3점만이 남아 있는 고려의 나전칠기합이 눈에 띄는 이유다. 일본 개인 소장가의 수집품을 2020년에 구매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 됐다. 값비싼 자개와 대모를 빼곡하게 상감한 정교한 작품이다. 반달형으로 먼저 목기를 만들고 둥근 부분을 3장의 꽃잎처럼 깎은 특이한 모양이다. 이와 아주 유사한 형태의 상감청자가 있기 때문에 나전칠기합도 원래는 4점이 한 세트를 이뤘던 것으로 추정된다. 얇게 가공한 조개껍질로 국화 무늬를 내고 이들이 연이어지도록 넝쿨 모양으로 꾸몄다.

조개 자체의 오묘한 빛이 다채롭기는 하지만 같은 빛깔의 단조로움을 깨기 위해 대모로 작게 장식했다. 대모 뒷면에 색칠을 해서 은은하게 색이 드러나게 만드는 것을 대모복채법(玳瑁伏彩法)이라 한다. 12세기 고려 나전칠기를 대표하는 특징이다. 나전 재료로 쓴 전복 껍질도 그렇지만 대모라는 동남아의 열대 바다에 사는 거북의 등껍질을 눈여겨보지 않을 수 없다. 당시로서는 엄청난 고가의 재료를 쓴 최고의 칠기다. 동남아에서 수입한 거북의 등껍질을 가공해 나전칠기의 은근하고 고상한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만들었으니 이 칠기를 썼을 고려 귀족의 미적 취향을 짐작하게 한다. 높이가 3㎝에 불과한 그릇이니 그 정교함이란 그저 감탄을 자아낼 뿐이다. 우리는 진심을 다해 정교하게 공예품을 만드는 고려 사람의 DNA를 물려받은 모양이다.

2022-02-07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