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고흐를 매료시킨 동양의 비 그림/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고흐를 매료시킨 동양의 비 그림/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입력 2022-09-04 20:34
업데이트 2023-02-15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유난히 비가 많이 온 여름이다. 봄 가뭄이 극심해 인디언 기우제라도 지내야 되는 것 아니냐는 빈말이 무색하다. 쏟아붓는 폭우로 물난리가 나고, 피해도 극심했는데 가을 초입에 들어선 지금도 여전히 비가 오락가락한다. 이제는 태풍이 올라오는 때이니 더이상의 큰비는 사절하고 싶은 심정이다.

우리나라에는 안도 히로시게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広重ㆍ1797~1858)는 하급 사무라이 집안 출신으로 안도가 본래 성이다. 평화로운 시대의 무사란 별 쓸모가 없는 존재였으니, 그는 당시 일본에서 유행했던 우타가와 도요히로의 판화 공방에 들어가 공부를 하고 우타가와라는 성을 쓰게 됐다. 처음에 스승처럼 유명한 배우나 게이샤를 그리던 히로시게가 유명해진 것은 1832년 다이묘를 따라 도카이도(東海道)를 여행하고 남긴 우키요에 ‘도카이도 고주산쓰기’(東海道 五十三次) 덕분이었다. 에도와 교토를 잇는 도카이도는 아름다운 풍광으로 유명한 길이었는데, 히로시게는 자기가 다닌 길목의 명승과 숙소 53곳을 판화로 남겼다. 에도시대 일본은 지방의 다이묘들이 반란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정기적으로 에도를 방문케 했는데, 이들은 이렇게 쇼군에게 충성을 보여 주어야 했다. 이들이 다니던 길이 이 도카이도였다. 점차 다이묘만이 아니라 신흥 상인 자본가들이나 여행객들도 많이 다니면서 유명해졌다.
이미지 확대
우타가와 히로시게, ‘다리 위의 소나기’, 1857, 브루클린 미술관.
우타가와 히로시게, ‘다리 위의 소나기’, 1857, 브루클린 미술관.
그의 원숙한 솜씨는 1857년에 만든 ‘다리 위의 소나기’에서 잘 드러난다. 장대 같은 빗줄기가 다리 위로 꽂히는 화면 하단의 오른쪽 위로 비스듬히 올라간 나무다리가 있고, 그 위로 비를 피해 급히 걸어가는 사람이 몇 있다. 우산을 쓰거나 삿갓을 쓰고 바쁘게 걸음을 옮기는 모습이다. 아득한 건너편 기슭에는 어두운 먹으로 두루뭉술하게 형체를 뭉뚱그려 수묵화처럼 보이는 숲이 있다. 숲과 아래쪽에 펼쳐진 다리는 화면 전체를 엇비슷하게 삼등분으로 나누며 공간에 깊이감을 준다. 화면 중앙에 넓게 흘러가는 강물은 비가 오든 바람이 불든 아랑곳하지 않는 묵묵한 자연을 보여 주는 듯하다. 밝은 갈색의 다리와 붉은색 난간을 제외하면 짙푸른 먹빛의 농담을 이용한 절제된 색감이 히로시게의 탁월한 감각을 그대로 드러낸다.
반 고흐, 빗 속의 다리, 1887, 73.3 cm x 53.8 cm, 암스테르담 반 고흐 미술관
반 고흐, 빗 속의 다리, 1887, 73.3 cm x 53.8 cm, 암스테르담 반 고흐 미술관
색감만이 아니라 위에서 슬쩍 내려다보는 듯한 특이한 구도까지 더해 히로시게의 판화에 매료된 사람이 바로 고흐다. 그는 히로시게의 이 우키요에를 거의 본뜨다시피 그대로 옮겨 그렸다. 색과 구도, 필치가 아주 유사하면서 또한 다르다. 한쪽은 판화이고, 한쪽은 유화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두 사람이 사용한 붓과 물감의 차이이기도 하다. 액자 틀처럼 짙은 녹색을 칠한 테두리에 고흐는 정성껏 한자를 그렸다. 얼핏 보면 정말 한자 같아 보이고, 더러 읽을 수도 있지만, 글자를 알고 쓴 사람의 솜씨는 아니다. 이렇게 한자를 그린 사람이 고흐가 처음은 아니지만 중국이나 일본의 문물처럼 보이게 만들고 싶었던 사람들이 여전히 많았음을 잘 보여 준다. 우키요에는 싸구려 채색목판화지만 서구에 자포니즘 열풍을 불러오기엔 충분했다.

2022-09-05 2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