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강수 서울 마포구청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28/SSC_20230328001146_O2.jpg.webp)
![박강수 서울 마포구청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28/SSC_20230328001146_O2.jpg.webp)
박강수 서울 마포구청장
이런 사회적 단절로 인한 문제는 일부 계층이나 연령층에 한한 것이 아니다. 핵가족에서 나고 자라 온라인 세상이 더 익숙한 MZ세대와 문밖의 세상을 스스로 거부하는 고립 청년들, 고독사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50~60대, 독거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고독과 사회적 고립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국가가 나서서 열심히 소외된 사회 구성원을 찾고 복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무관심과 개인주의가 일반화돼 가는 지금의 사회 분위기를 쇄신할 더 근원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유대감과 정은 결국 사람의 온기가 필요한 영역이 아닌가.
나는 이 문제의 해답이 ‘인사’에 있다고 생각한다. 김춘수의 시 ‘꽃’에서처럼 사람은 모두 의미 있는 존재이기를 원한다. 발 디딜 틈 없는 서울에서조차 많은 이가 혼자라고 느끼는 것은 자신의 존재를 알아봐 주고 의미를 부여해 주는 사람이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인사는 상대방이 스쳐 지나는 배경이 아니라 의미 있는 존재라는 것을 느끼게 해 주는 동시에 상대를 존중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 가장 따뜻한 행위다.
인사는 우호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갈등을 줄이는 사회적 역할도 한다. 층간소음 같은 사소한 갈등도 때로 큰 화로 번지는 것을 본다. 30㎝도 채 안 되는 콘크리트 층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사는 이웃이라도 인사 한번 나눈 적 없다면 그저 숱한 사람 중 하나에 불과하다. 의미 없는 타인을 위해 불편을 감내하려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반대로 매일 웃으며 인사하는 이웃이라면, 그래서 얼굴도 모르는 누군가의 소음이 아니라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두 살 아이의 발소리라는 걸 안다면 관용의 폭이 조금은 넓어지지 않을까.
그래서 마포구는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먼저 본 사람이 먼저 인사하자’는 뜻을 담은 ‘먼먼데이 캠페인’이다. 어렵지 않다. 출근길 엘리베이터에서, 경비실 앞에서, 아이가 등교하는 학교 앞에서, 편의점에서 아는 얼굴을 만났을 때 눈을 마주치며 먼저 “안녕하세요” 인사하면 된다. 짧은 그 한마디가 누군가에게는 삶의 의미와 위로가 되고 인사를 건네는 3초가 우리 일상을 더 안온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우리가 주고받은 온기는 세상을 돌고 돌아 냉랭해진 사회의 온도를 다시금 회복시킬 것이라고 믿는다.
2023-10-2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