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봉준 문학평론가·경희대 교수
조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도 그런 작품들 가운데 하나다. 이 작품은 ‘실명’ 바이러스가 도시를 덮친 상황을 배경으로 인간의 추악한 내면을 그린 재난소설이다. 예고 없이 시작된 ‘실명’ 사태는 평온한 도시를 한순간에 무법천지로 만들고 법과 도덕이 사라진 세계에선 무력이 공포와 불안에 사로잡힌 대중을 지배한다.
하지만 이 소설이 말하려는 것은 ‘재난’이 아니라 ‘실명’, 즉 시력을 잃는다는 것의 진짜 의미이다. 작가는 이를 위해 두 개의 장치를 마련했다. 시력을 잃지 않은 유일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타인들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외면하지 않는 의사의 아내가 그 하나이고, 시력을 상실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깨달았을 때 마침내 바이러스가 사라져 모두가 ‘눈’을 뜬다는 설정이 다른 하나이다.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이런 의사 아내의 말은 ‘실명’이 시력을 상실하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는 주장을 담고 있다.
우리는 ‘무엇’을 못 보고 살고 있는 것일까. 최정화의 ‘흰 도시 이야기’는 무감각한 도시의 일상을 배경으로 ‘재난’의 진짜 의미를 드러낸다. 소설은 L이라는 가상의 도시에서 ‘다기조’라는 생소한 이름의 질병이 발생한 재난 상황을 그린다. 이 질병의 특징은 신체의 일부, 즉 ‘손’이 석화돼 떨어지는 것이다.
작가는 ‘손’이 떨어지는 것으로 시작해 과거에 대한 기억과 타인에 대한 감정이입 능력을 잃어버리는 것을 ‘다기조화’라고 명명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런 상실이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신체 일부와 감성적 능력의 상실에 순응하면 오히려 평화로운 일상이 보장된다는 사실이다. 반면 그 상실에 저항하면 신체 전체가 석화돼 결국 목숨을 잃게 된다. 소설은 ‘다기조화’에 순응하고 살아가는 도시인들과, 목숨을 걸고 기억은 물론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을 지키려는 모래마을 사람들의 대립을 통해 우리의 삶을 조명한다.
L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포기한 것, 혹은 모래마을 사람들이 끝내 포기하기를 거부한 그것은 무엇일까. 바로 가족에 대한 기억, 불행한 상황에 처한 타인을 향해 연대의 손길을 내미는 공감능력 등이다. ‘다기조’라는 질병이 우리에게서 빼앗은 ‘손’은 곧 연대 능력을 상징한다.
결국 사라마구와 최정화의 소설은 ‘재난’은 ‘눈’과 ‘손’ 같은 신체 일부를 잃어버리는 의학적 현상이 아니라 최소한의 인간적 가치와 타인의 삶에 대한 관심을 잃어버리는 것임을, 그것들을 잃어버리면 일상과 재난의 경계가 모호해진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재난은 그 자체로는 끔찍하지만 때로는 천국으로 들어가는 뒷문이 될 수 있다.” 미국 저널리스트 리베카 솔닛의 말이다. 사라마구와 최정화의 소설에 등장하는 도시인들처럼 우리 역시 자신의 이익에 충실하며 살아왔다. 혹독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더 높은 곳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느라 타인의 고통을 외면할 것을 강요받고 살았다.
그런데 대구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쏟아지자 사람들의 태도가 달라졌다. 성금을 모으는 대학생들, 마스크를 양보하는 사람들, 자발적으로 임대료를 낮추는 건물주가 등장하고 의료진과 일반인들이 자원봉사를 위해 대구로 향하는 등 믿기 힘든 일들이 발생했다. 재난은 우리에게서 많은 것을 빼앗아 갔지만 동시에 우리가 타인과의 연대를 추구하는 사회적 존재임을 일깨워 주었다.
좋은 문학은 상투적인 경험적 이해 너머의 세계로 우리를 데려간다. 지금과는 다른 세계, 다른 삶, 다른 질서를 상상하게 만들고 그것에 기초해 변화된 현실의 방향을 제시하도록 만든다. 미국 작가 수전 손태그는 이러한 문학의 임무를 가리켜 지배적인 질서에 ‘반대 진술’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했다. 그가 말한 ‘반대 진술’이란 현실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는 능력, ‘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들 대부분이 보지 못했던 것을 보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의 질서가 ‘나’의 바깥을 비가시적인 영역으로 만드는 것이라면, 문학의 역할은 우리로 하여금 ‘나’ 바깥을 보게 만드는 것일 수밖에 없다. ‘나’ 바깥에는 무엇이 있는가. 재난소설은 그곳에 우리와 다르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고 말한다.
2020-04-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