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풀잎을 보라는 말/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의 詩와 視線] 풀잎을 보라는 말/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입력 2023-04-26 01:26
수정 2023-04-26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한 아이가 물었다. 풀이 뭐예요?

손에 가득 풀을 담아 내밀면서.

내가 무어라 대답할 수 있을까?

그게 뭔지 그 아이가 알지 못하듯

나도 알지 못하는데.

그건 분명 희망찬 초록 뭉치로

직조된 내 천성의 깃발일 거야.


아니면 하느님의 손수건일까, (중략)

아니면 풀잎은 그 자체로 한 아이,

식물로 만들어진 아기라고 생각해.


아니면 그건 불변의 상형문자 같아.

―월트 휘트먼 ‘내 자신의 노래’ 중

월트 휘트먼. 1855년 서른여섯 나이에 자비로 시집을 냈고, 그 시집을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별로 실망도 않고 계속 시를 고치며 1892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평생토록 ‘풀잎’이라는 한 권의 시집만 붙들고 있던 시인. 휘트먼은 영국시를 전공하던 내게 미국시를 공부하라고, 그것도 미국에 직접 가서 공부하라고 이끈 시인이다. 바로 이 시집, 이 구절 때문이다.

이맘때의 세상은 참 신비롭다. 하루하루가 만화방창(萬化方暢)이다. 꽃가루에 재채기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괴로운 계절이지만, 사방에서 온갖 생물이 앞다투어 자란다. 연분홍이 분홍이 되고 연두가 초록이 된다. 눈을 조금만 돌려도 채도가 짙어지는 다른 빛이 있다. 아스팔트로 꽉 막힌 도심에서도 예외는 아니라서, 어제는 무심히 걷다 회색 콘크리트 담벼락 아래 돋아난 민들레 노란 꽃을 한참 바라보았다.

한 아이가 시인에게 묻는다. 풀이 뭐예요? 원문의 ‘What is the grass?’는 이탤릭체다. 시인은 아이의 질문을 강조하고 싶은 게다. 이 세상을 말간 눈으로 처음 대하는 아이의 시선만이 품을 수 있는 질문을 받으며 시인은 생각한다. 풀이 뭘까, 그러면서 확장되는 생각이 긴 시를 만들었고 여기 실은 시는 그 작은 일부다. 모든 것이 앞으로, 밖으로 나아가는 약동 속에서 시인은 탄생과 죽음을 함께 본다.

언젠가 여섯 살 조카의 손을 잡고 산길을 걷다가 “부드럽게 스치는 이 느낌이 바람이에요?”라는 그 아이의 말에 놀란 적이 있다. 바람이 참 깊네요, 시를 품은 마음으로 명랑하게 묻던 아이도 이젠 서른 가까이 자라서 더는 바람을 보고 느끼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아무것도 크게 궁금하지 않고 당연할 때 우리는 굳어진다. 굳어지고 딱딱해진 세상은 새로움을 잃은 무력한 공간이다.

지난 주말 외가를 다녀오는 길. ‘안동 하회마을’이라는 이정표가 보이자 팔순의 엄마는 “아, 우리 집이다” 탄성을 지르신다. 이제는 폐교가 된 풍남초등학교 교가를 아직도 기억하는 엄마. “야야, 저 하늘 한 번 봐라.” 신의 손수건이 펼쳐지는 순간은 그때라고 나는 믿는다. 풀이 ‘희망찬 초록 뭉치로 직조된 내 천성의 깃발’이라면 우리는 오늘도 ‘와’ 혹은 ‘아’ 마르지 않는 신비한 탄성으로 이 세상을 바라볼 수 있다. 그 안에 숨어 있는 희망도. 그러니 나가서 풀잎을 보라는 말. 어제와도 다르고 내일과도 다를 오늘이라는 시간의 그 빛을 만나라는 말. 오늘 전하는 시의 시선은 이게 전부다.
2023-04-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