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곡성’에서 어린 주인공 효진이는 묻는다. “뭣이 중헌디?” 그 질문에 “중한 것은 이름을 부르는 것”이라고 답하면 어떨까. 이름을 부른다는 것은 무겁고 중대한 일이다. 때로는 애틋한 사랑의 표현이기도, 다부진 각오이기도 하며, 가끔은 저주의 말이기도 하다. 옛 시인은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고 했지만, 어떤 후궁은 흉한 인형에 경쟁자의 이름을 적어 몹쓸 저주를 하기도 했다. 영화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해리와 친구들은 절대악 볼드모트를 이름으로 부르지 못한다. 불길하기 때문이다.
창세기의 아담이 신에게 받은 첫 지시는 동물들의 이름 짓기였다. 공자는 정치를 맡으면 무엇을 먼저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름을 바로 할 것’이라 답했다. 미국 작가 레베카 솔닛은 “무언가를 정확한 이름으로 부르는 행위는 무대책, 무관심, 망각을 장려하는 거짓말들을 끊어 낸다”고 했다.
이리도 중요한 이름이지만, 나이를 먹으며 가장 먼저 잊는 것이기도 하다. 중년이 된 친구들의 모임에선 “걔는 그거 했대?” 같은 말이 흔히 오간다. 친구의 얼굴도 목소리도 또렷한데, 그 이름이 혀끝에서 맴돌며 떠오르지 않는 것이다. 건망증의 시작이 이렇게 온다. 정확한 용어로는 명칭실인증. 사람의 죽음도 이름을 매개로 정의할 수 있다. 호흡과 맥박이 중단될 때가 아니라 그를 기억하고 그 이름을 떠올리는 사람이 더이상 없을 때 사람은 비로소 마지막으로 죽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가 죽은 이의 이름을 기억하는 한 그들은 우리의 기억 속에서 오래 살게 된다.
같은 사람이라도 어떻게 부르느냐에 따라 그 관계는 하늘과 땅 차이다. 연모하는 이를 “저기요” 하며 부를 때와 “자기야” 하고 부를 때의 기분은 같을 수 없다. 연인의 손을 잡고 걷는 봄길에 상대방을 “저기”라고 부르던 기억은 멀리 사라질 것이다. 사람만 그럴까. 사물 또한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잊혀진다. 때론 같은 사물이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고, 다른 사물로 대체돼 이름이 잊혀지기도 한다. 그렇게 잊혀지는 것들이 아쉬울 때면 우리는 더이상 자주 불리지 않아 어색해진 옛 이름으로 그 사물을 부르는 고집을 부리기도 한다.
내 경우엔 어느새 익숙해진 ‘팬트리’란 단어 대신에 ‘찬장’이란 말을 더 쓰려고 노력한다거나, 아이에게 잔심부름을 부탁할 때 ‘뒷베란다’라 하면 한 번에 알아들을 것을 굳이 ‘뒤란’이라고 말해 두 번 설명하는 수고를 감수하기도 한다. 그 단어들이 소중해서이기도 하지만, 그 말들을 자주 쓰던 돌아가신 두 할머니가 그립기 때문이다.
때로 이름 부르기는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지난 18일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가 일어난 지 20년이 됐다. 참사를 기억하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공간도 마련돼 있는데, 그 이름이 추모공원이 아닌 시민안전테마파크다. 주변 상인들의 반대 때문이라고 한다. 각자 그럴 만한 사정이 있겠지만, 안전 조형물이란 이름이 붙은 추모탑만이라도 제 이름을 찾아 주어 유가족의 마음을 배려하면 안 되는 것일까. 이름을 부르는 것은 무겁고 중한 일이니까.
창세기의 아담이 신에게 받은 첫 지시는 동물들의 이름 짓기였다. 공자는 정치를 맡으면 무엇을 먼저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름을 바로 할 것’이라 답했다. 미국 작가 레베카 솔닛은 “무언가를 정확한 이름으로 부르는 행위는 무대책, 무관심, 망각을 장려하는 거짓말들을 끊어 낸다”고 했다.
이리도 중요한 이름이지만, 나이를 먹으며 가장 먼저 잊는 것이기도 하다. 중년이 된 친구들의 모임에선 “걔는 그거 했대?” 같은 말이 흔히 오간다. 친구의 얼굴도 목소리도 또렷한데, 그 이름이 혀끝에서 맴돌며 떠오르지 않는 것이다. 건망증의 시작이 이렇게 온다. 정확한 용어로는 명칭실인증. 사람의 죽음도 이름을 매개로 정의할 수 있다. 호흡과 맥박이 중단될 때가 아니라 그를 기억하고 그 이름을 떠올리는 사람이 더이상 없을 때 사람은 비로소 마지막으로 죽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가 죽은 이의 이름을 기억하는 한 그들은 우리의 기억 속에서 오래 살게 된다.
같은 사람이라도 어떻게 부르느냐에 따라 그 관계는 하늘과 땅 차이다. 연모하는 이를 “저기요” 하며 부를 때와 “자기야” 하고 부를 때의 기분은 같을 수 없다. 연인의 손을 잡고 걷는 봄길에 상대방을 “저기”라고 부르던 기억은 멀리 사라질 것이다. 사람만 그럴까. 사물 또한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잊혀진다. 때론 같은 사물이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고, 다른 사물로 대체돼 이름이 잊혀지기도 한다. 그렇게 잊혀지는 것들이 아쉬울 때면 우리는 더이상 자주 불리지 않아 어색해진 옛 이름으로 그 사물을 부르는 고집을 부리기도 한다.
내 경우엔 어느새 익숙해진 ‘팬트리’란 단어 대신에 ‘찬장’이란 말을 더 쓰려고 노력한다거나, 아이에게 잔심부름을 부탁할 때 ‘뒷베란다’라 하면 한 번에 알아들을 것을 굳이 ‘뒤란’이라고 말해 두 번 설명하는 수고를 감수하기도 한다. 그 단어들이 소중해서이기도 하지만, 그 말들을 자주 쓰던 돌아가신 두 할머니가 그립기 때문이다.
때로 이름 부르기는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지난 18일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가 일어난 지 20년이 됐다. 참사를 기억하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공간도 마련돼 있는데, 그 이름이 추모공원이 아닌 시민안전테마파크다. 주변 상인들의 반대 때문이라고 한다. 각자 그럴 만한 사정이 있겠지만, 안전 조형물이란 이름이 붙은 추모탑만이라도 제 이름을 찾아 주어 유가족의 마음을 배려하면 안 되는 것일까. 이름을 부르는 것은 무겁고 중한 일이니까.
2023-02-2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