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얼마 전 상담 사례가 떠오른다. 아들이 중학교 때만 해도 잦은 통증과 예민함으로 출석일수가 아슬아슬하게 결석이 잦았다. 노심초사하면서 아침을 맞았고, 겨우 등교를 시키고 나면 진이 빠지기 일쑤였다. 그 위기를 넘기고 이제 고등학생이 됐다. 엄마의 고민이 바뀌었다. “아이가 매일 게임만 하고 공부를 하지 않아요. 다른 애들은 지금 진도를 뽑는데….” 결석을 하지 않고 친구도 생겼는데 고민의 포커스가 바뀌었다.
둘은 같은 흐름 안에 있다. 처음엔 확실히 안 좋은 일이었다. 그러나 지금의 고민은 확실히 나쁜 것은 아니지만 아쉬운 마음이 생긴다. 이제는 남들이 다 하는 것을 아이도 잘하기를 바라는, 부모의 욕심이 채워지지 않는 서운함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예전에는 절박한 안타까움이었다면 지금은 더 바람직한 생활을 하기를 바라는 아쉬움이다. 둘은 꽤 다른 질감의 마음인데도 바라보면 불안해지기도 하고, 화가 나기도 한다.
이럴 때 어떤 마음을 가져 보면 좋을까. 원하는 것을 얻으면 행복해한다. 그에 반해 얻지 못하거나, 원치 않는 일이 생기면 불행하다고 여긴다. 그러니 두 배의 확률로 불행하고 괴로울 일이 더 많아 보인다. 바라던 걸 실제로 얻는 경우는 많지 않으니까. 이를 4개의 분면으로 나눠 보면 비어 있는 한 면이 있다. 원치 않았던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것도 좋은 일 아닌가.
아이가 학교를 싫어하지 않고, 휴학을 하지 않고, 아파하지 않고, 등교 거부를 하지 않는 것. 나는 그걸 ‘다행이다’라고 말하고 싶다.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던 일이 일어나지 않고 있으니 얼마나 다행이란 말인가. “아, 다행이야”라고 중얼거려 보니 마음이 한결 편해졌다. 이제는 나쁜 건 일어나지 않으니 공부를 하건 안 하건. 성실한 생활을 하는 것은 안 하면 큰일 나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만일 그걸 해주면 뜻밖의 선물일 정도다. 이전에 침몰할지도 모를 위기의 상황과 비교해 보니 그럴 염려는 없으니 뭐든 괜찮아 보이게 된다. 신박한 기적의 논리로 보이나?
여하튼 나는 그렇게 다짐하면서 지내고 있다. 힘든 시기를 벗어난 다음 내가 바라는 대로 일이 풀리지 않는 것 같을 때에는 그래도 그 최악은 아니라는 마음으로 중얼거려 보자. “그래도 ○○은 아니니 다행이야”라고.
2022-10-1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