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경진 산업부 기자
‘셰일혁명’에 안주한 탓일까. 미국을 상징하는 ‘완성차 3대장’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크라이슬러는 모두 전동화에 소극적이었다. 최근 공격적으로 나서고는 있지만, 단시간에 따라잡기는 역부족이다. 올 상반기 미국 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에서 3사는 모두 10% 미만의 점유율로 현대자동차그룹에 2위 자리를 내줬다. 고전하는 자국 산업을 지키기 위해 미국은 결국 극단적인 보호주의를 택했다. 한때 개방과 자유를 표방하던 자동차의 가치는 전동화를 기점으로 폐쇄와 보호로 점차 옮겨 가고 있다. 전기차는 이제 보호무역주의의 화신으로 거듭났다.
섭섭함은 점점 서늘함으로 바뀌고 있다. 대규모 투자를 감수하고 미국에서 하루라도 빨리 전기차를 생산하고 싶은 현대자동차그룹을 위시한 우리의 모습과 간곡한 요구에도 “한국에서는 당분간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 없다”며 칼같이 선을 긋는 GM의 상반된 태도가 오버랩돼서다. 2025년 양산을 목표로 현대차그룹의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공장 기공식이 지난 25일(현지시간) 열렸지만, “축하한다”는 말 외에 바이든 입에서 우리가 진정 듣고 싶은 이야기는 전혀 나오지 않았다.
정의선 회장은 “전기차 시대에는 모두 같은 출발선에 있다”며 “좋은 전기차를 만들면 우리도 ‘선도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국제정세 속 우리는 또다시 가혹한 선택의 갈림길에 서게 됐다. IRA는 시작일 뿐이다. 앞으로 ‘확실한 내 편이 돼라’라는 올가미는 계속 조여올 것이 분명하다. 이번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다른 지역에서도 (IRA와) 비슷한 규제가 예상된다”며 밸류체인 구축에 힘쓰겠다는 현대차의 말은 현장에서 살벌한 정세를 직접 마주한 데서 비롯된 위기의식이다.
“이 자식, 물건이네!” 바이든 대통령은 GM의 전기차 ‘허머EV’를 시승하고는 엄지를 치켜세웠다. 그만큼 이 산업을 어떻게든 지켜 내겠다는 통치자의 확고한 의지가 반영된 장면이었다. 우리에게도 그런 장면이 있었나. 잘 떠오르지 않는다.
2022-10-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