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길말뚝/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의 언파만파] 길말뚝/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기자
입력 2021-10-24 20:22
수정 2021-10-25 0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길을 가다 보면 이 말뚝, 기둥이 가끔씩 통행을 방해한다. 안전을 위협할 정도일 때도 있다. 찻길과 보도가 맞닿은 곳에 흔하게 설치돼 있다. 사람 다니는 길로 차가 들어오지 못하게 박아 놓은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쇠로 만들어져 있지만, 돌로 된 것도 적지 않다. 도시 어디서나 쉽게 접하게 되는 시설물인데, 이름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는 듯하다. ‘길말뚝’이다. 고개를 갸웃하는 독자가 대부분일 듯싶다. 길에 있는 말뚝이니 ‘길말뚝’이라 생각하면 되겠다. 이 물건을 만드는 곳에선 ‘볼라드’(bollard)라고 부른다. 이 이름으로 판매를 하니 ‘볼라드’가 더 알려진 이름일 수 있겠다.

그렇지만 일상에선 두 낱말 모두 생소하고 거의 쓰이지 않는다. 법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 있는데, 이 법에서도 길말뚝이든 볼라드든 찾아볼 수 없다. 이 법에서는 풀어서 ‘자동차 진입 억제용 말뚝’이라고 한다. “자동차 진입 억제용 말뚝은 보행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통행을 방해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설치하여야 한다.” 이 법 시행규칙의 한 조항이다. 법률에서 영어 ‘볼라드’를 쓰는 건 부담이 갔을 것이다. 이 법을 만들 때 ‘길말뚝’이란 낱말은 없었다.

길말뚝이 세상에 나온 건 2014년이다. 국립국어원이 외국어이고 생소해 보이는 ‘볼라드’ 대신 ‘길말뚝’을 쓰자고 제안했다. 그렇지만 반응은 아직까지 시원치 않다. 업계와 그 주변에선 여전히 볼라드다. 지방자치단체들도 대부분 ‘볼라드’라고 한다. 언론매체의 뉴스에서도 주로 이 명칭을 쓴다. 1980년대 신문기사에서도 보이는 걸 보면 우리가 사용하기 시작한 지 꽤 오래된 말이다.

‘볼라드’는 본래 부두에 배를 매어 놓는 말뚝을 뜻했다. 같은 뜻으로 우리말에는 뱃말, ‘계선주’(繫船柱), ‘계주’(繫柱) 같은 낱말이 있다. 영어 볼라드는 이후 용도가 확대돼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 다른 것의 진입을 막는 것으로도 쓰이면서 의미도 넓어졌다. 우리나라에도 이런 의미를 지닌 말로 들어왔다.

하나의 낱말은 압축파일이다. 어떤 상황이나 상태, 특징, 동작을 하나의 형태로 압축해 내놓는다. 이러면 상대는 알아듣기도, 기억하기도 쉽다. 오래 보관(기억)하는 데도 효율적이다. ‘사랑’을 “상대를 아끼고 소중히 여기거나 즐기는 마음”이라고 외워 둘 필요가 없고, ‘의자’를 “사람이 걸터앉는 데 쓰는 기구”라고 설명하며 말할 필요도 없다. ‘자동차 진입 억제용 말뚝’은 길다. ‘볼라드’는 어렵다. ‘길말뚝’을 일상으로 가져오는 게 어떨지.

2021-10-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