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만 논설위원
원세개에게 아부하려는 친청파 사대당 인사들의 굴종적인 행동이 그를 무례와 교만이 가득한 안하무인으로 만들었다. ‘알아서 기는’ 조선의 관료들을 거느리고 원세개가 ‘조선의 왕노릇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급기야 고종 폐위까지 모의할 정도로 그의 패악질이 심해지자 조선 주재 외교사절들마저 면직을 청 조정에 요청할 정도였다.
그 원세개가 이 땅에 발을 디딘 지 150년 가까이 지났지만, 구한말의 처지와 그리 달라지지 않은 듯하다. 최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의 언행을 보면서 적지 않은 국민들도 비슷한 생각을 했을 법하다. 외교가에서 대사가 주재국 정상의 발언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금기시돼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를 통해 밝힌 ‘북한 개별관광’을 놓고 주재국 대사가 ‘제재 가능성’까지 운운한 것은 누가 봐도 도가 지나치다. 일제시대 ‘조선총독 같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다.
부임 이후 1년 6개월 동안 그의 행보는 논란의 대상이 됐다. 세계 최강의 태평양 함대 사령관을 지낸 인물이라 그런지 그의 언사는 거칠 것이 없다. 그의 관저로 국회 정보위원장을 불러 놓고 30분 면담 동안 무려 20여 차례나 ‘50억 달러의 분담금을 내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고 한다. 지난해 9월엔 여야 의원들에게 ‘종북좌파’라는 단어를 써 가면서 정부 인사들을 모욕했다. 외교관으로서 자질이 의심될 정도다. 물론 해리스 대사는 전권대사로 미국의 국익을 위해 일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를 관철하려는 그에게 상이라도 주고 싶겠지만, 한국민의 감정에 생채기를 내선 안 된다. 굴곡진 근현대사를 살아온 한국인들에게 외세에 대한 아픈 역사가 있다는 점을 배려해야 한다.
최연소 주한 미국대사였던 마크 리퍼트 전 대사는 한국서 낳은 늦둥이에게 ‘세준’이란 중간이름을 붙였고 백일 잔치도 한복을 입고 치렀다. 평화봉사단원 출신인 캐슬린 스티븐스 전 대사 역시 한국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 때문에 박수를 받은 인물이다. 해리스 대사의 언사가 본의 아니게 속국의 총독처럼 비쳐지는 것은 한미동맹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도 반성할 대목이 많다. 해리스 대사의 고압적인 언사는 일부 정치인이나 외교 관료들이 자초한 자업자득 측면이 있다. 50억 달러 분담금 등 과도한 요구에 그 부당성을 면전에서 따졌다는 말을 들어 보지 못했다. 관저로 부르면 그저 황송해서 허겁지겁 달려가지나 않았는지, 당리당략이나 자신의 출세를 위해 입속의 혀처럼 미국 입맛에 맞는 말들을 늘어놓지나 않았는지 돌아볼 대목이다. 원세개의 환심을 사려던 구한말 사대당들의 굴종적인 모습이 21세기 이 땅에 재현돼선 안 될 일이다.
부부끼리도 싸우는 세상에 우리의 국익이 미국과 100% 일치될 수는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미국과 의견이 조금만 달라도 한미 동맹에 금이 가니, 한미 공조가 무너지니 하는 말들이 언론을 통해 난무한다. 한미 공조의 이름으로 우리의 국익마저 침해당하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굴종의 역사를 반복하는 것이다. 미국 우선주의, 한미 동맹 지상주의에 매몰된 ‘한미 공조 프레임’은 현 상황을 타개하는 데 도움이 안 된다.
우리는 한반도 당사자로서 한반도 평화 정착의 주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북미의 ‘하노이 결렬’에서 보았듯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정치 일정을 자신의 재선에 맞추고 있다. 미국의 조야 역시 미중 패권구도 속에서 북한을 묶어두는 ‘현상 유지’를 선호한다. 남북 관계 개선으로 북미 관계를 진전시켜야 하는, 우리의 국익과 갈라지는 지점이다. 미국은 여론이 좌우하는 민주사회다. 당당하게 우리의 국익을 표출할 때 그 목소리를 귀담아듣는다. ‘과천부터 기어가는’ 우리의 저자세 외교로는 한국의 국익을 관철시키지 못한다.
oilman@seoul.co.kr
2020-01-22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