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광장] 재평가 필요한 병자호란 승전 박의·유림/서동철 논설위원

[서울광장] 재평가 필요한 병자호란 승전 박의·유림/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2-04-18 22:40
업데이트 2022-04-19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전한 중국 중심 조선 세계관에
묻힌 이들의 승전 부각시켜야
아픈 역사 되풀이하지 않고
동등한 한중 관계 만들 수 있어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 같은 전란(戰亂)의 역사를 읽다 보면 문득 궁금해지는 것이 있다. 뛰어난 전공을 올린 무인(武人)이 그래서 전쟁 이후에는 어떤 삶을 살았느냐는 것이다. 나라를 위기에서 구해 냈음에도 임금과 조정의 불신으로 백의종군까지 해야 했던 이순신 장군의 최후를 두고 사실상 스스로 목숨을 버린 것 아니냐는 근거 없는 의구심이 떠도는 것도 그 연장선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이 어떻게 보든 임진왜란은 결과적으로 조선이 이긴 전쟁이라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병자호란은 조선이 청나라에 일방적으로 몰려 결국 항복했으니 빼도 박도 못한다. 그렇다고 당시 모든 전투에서 조선군이 청나라 군대에 대책 없이 깨지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김준룡 장군이 지휘한 수원 광교산 전투와 유림 장군이 이끈 김화 전투의 눈부신 승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럴수록 도무지 어떻게 이길 수 있었는지 신기하기조차 한 무인들의 ‘승전 이후’는 행복하지 않았다.

근왕병(勤王兵)으로 나선 전라병사 김준룡 장군 휘하 병력 2000명은 1637년 1월 5일 경기 용인과 수원 사이의 광교산에서 청나라 군사 5000명을 격퇴한 데 이어 다음날에는 청태조 누르하치의 사위이자 청태종 홍타이지의 매부 양고리를 사살했다. 청나라로서는 호란 최악의 손실이었다. 양고리를 조총으로 명중시킨 박의(1600~1653)는 이 공으로 직동권관이 됐다고 인명사전에는 적혀 있다. 하지만 1624년 무과에 급제한 중견 군관이니 종 9품 권관은 승진이라고 할 수도 없다.

박의를 평안도 북방 압록강변에 숨겨 놓다시피 한 것은 청나라 눈치를 봤기 때문이다. 홍타이지에게 충성을 맹세한 마당에 ‘황제의 매부’를 사살한 것을 치하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박의가 이후 어디에서 무엇을 했는지 기록은 없다. 남아 있는 흔적이라고는 고향인 전북 고창의 ‘양고살재’라는 고개 이름뿐이다. 양고리를 사살한 공을 기린다고 한다.

평안도병마절도사 유림(1581~1643)의 근왕병은 1637년 1월 28일 청나라 군대를 강원도 김화에서 막아 냈다. 김화 전투는 청군 전사자가 4000명에 이르렀다니 조선군이 병자호란에서 거둔 최대의 승전이었다. 이후 유림의 삶은 소설이나 영화가 아닌 실제 상황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극적이다. 청나라 군대를 대파한 조선 장수가 며칠 사이에 그 청나라 군대에 예속되어 그동안 조선이 상국(上國)으로 받들던 명나라를 상대로 싸워야 하는 어이없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청태종이 곧바로 명군이 주둔하던 평안도 북방의 섬 가도를 공격하는 데 군사를 동원하도록 인조에게 명령한 것이다. 유림이 주장(主將), 임경업이 부장(副將)으로 나선 조선군은 청군과 연합해 가도에서 명군을 몰아냈다. 청태종은 1640년 명나라 금주(錦州)를 공략하는 데도 유림을 대장으로 군사를 보낼 것을 요구했다. 우리 역사는 조선군이 전투에 적극 참여하지 않은 듯 적었지만 결국 공략은 성공했고, 홍타이지는 유림을 직접 불러 치하했다니 전공은 작지 않았을 것이다.

김준룡, 박의, 유림을 우리가 잘 모르는 것은 이들을 거론하면 중국의 심기를 불편하게 할 수밖에 없었던 조선 후기 세계관이 반성 없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청나라와의 관계가 아니었다면 세 사람은 이순신 버금가는 무장으로 우리 역사에 기록되고 있지 않았을까 스스로 반성한다.

한중 관계의 미래가 불투명할수록 광교산과 김화의 역사는 더욱 확실하게 부각되어야 한다. 광교산에 김준룡과 박의를 기리는 그 흔한 사당 하나 세워지지 않은 것도 반성할 일이다. 유림의 위패를 모신 철원 충렬사도 정비해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다시 몰려올 중국 관광객에게도 의미 있는 역사 관광 코스가 될 것이다. 우리 스스로 아픈 역사, 공을 세우고도 내세울 수 없는 장수가 다시 없도록 마음을 다잡아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2-04-19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