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월급날/주병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월급날/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1-07-26 00:00
업데이트 2011-07-2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등학교 때 한달에 한번은 꼭 즐거웠던 기억이 있다. 교편을 잡은 아버지의 월급날이자 자식들한테는 약간의 떡고물(?)이 떨어지는 날이었기 때문이다. 아버지는 고기 한근과 월급이 담긴 노란 봉투를 들고 귀가하셨다. 봉투 겉봉에는 1원짜리 단위까지 적혀 있었다. 식구들이 보는 앞에서 아버지는 어머니가 불러 주는 쌀값, 연탄값, 반찬값 등을 주판으로 셈했다.

예상 살림값이 봉투에 적힌 금액보다 많으면 두 분은 요리조리 다시 꿰맞췄다. 그러길 30여분. 최종 조율이 되면 항목별로 돈을 나눴다. 약간의 푼돈은 우리들 몫이었다. 용돈도 챙기고, 고기도 먹는 그날은 정말 부러울 게 없었다.

요즘은 그런 맛이 없다. 이메일로 보내 주는 급여명세서가 전부다. 월급도 통장으로 입금돼 만져 보는 재미도 없다. 거기다 집사람과 같이 직장생활을 하다 보니 월급 나왔다고 나 혼자 위엄을 부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현금과 동전이 든 노란봉투를 건네받아 침 발라 가며 세어 보는 아버지 때의 추억이 가끔씩 그립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1-07-26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