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수선화 생각/이경형 주필

[길섶에서] 수선화 생각/이경형 주필

이경형 기자 기자
입력 2016-03-14 18:08
수정 2016-03-14 19: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꽃샘바람이 수선화 잎들을 흔들고 있다. 아직 꽃대를 올리지 않은 수선화는 바람을 막아 줄 이불을 잃었다. 경칩 때 봄맞이 단장을 한답시고 정원에 쌓인 낙엽을 너무 일찍 걷어 낸 것이다. 영하를 넘나드는 추위 속에서도 수선화는 가운뎃손가락만큼 자랐다. 잎줄기 다발이 도톰해 들여다보니, 노란 꽃들을 배고 있었다. 앙상한 나뭇가지만 있는 정원에서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전령이 될 것 같다.

남향받이에 자리 잡긴 했지만, 몸을 잔뜩 움츠린 채 가늘게 떨고 있는 모습은 영락없는 신화 속의 나르시스이다. 잘생긴 목동은 여러 요정들로부터 구애를 받지만 아무도 사랑하지 않았다. 그는 물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사랑하다가 끝내 물에 빠져 숨졌다. 그 목동이 있던 자리에 피어난 꽃이 수선화가 아니었더냐.

가슴을 닫고 자신을 칭칭 동여맨 사람은 쉽게 외로움에 빠진다. 화가 솟구쳐도 안으로 삭이는 법을 배우고, 남이 내 속에 들어오겠다면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 삶이다. 나르시스처럼 자기 속에 모든 것을 가둬 버리면 수선화의 꽃말인 고결함과 신비함도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이경형 주필 khlee@seoul.co.kr
2016-03-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