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마음의 다스림/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마음의 다스림/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03-04 23:20
수정 2020-03-05 04: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다양한 상황과 맞닥뜨리는 삶은 요철 위를 걷는 것처럼 불안한 과정이다. 늘 예측하지 못한 일들이 벌어지는 세상에서 흔들리지 않고 중심을 잡으려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수양이다.

수양 또는 수신이란 마음을 다스리는 일이다. 마음을 갈고닦아 바르고 착한 품성을 높은 경지로 끌어올리는 행위다. 수양이 부족하면 복잡한 세상사에 이리저리 휩쓸리며 일희일비한다.

또한 그릇된 욕심을 버리지 못하고 탐욕에 빠져 그런 결과 필요 없는 걱정으로 아까운 인생 시간을 낭비한다.

수양이 되면 좋고 나쁜 대소사에 쉽게 깔깔거리거나 분노하지 않는다. 잦은 감정 변화로 정신의 피로를 자초하지 않고 어떤 일에도 평정심을 잃지 않는다.

삼사일언(三思一言) 즉, 다른 사람에게 말 한마디를 해도 세 번의 생각을 거쳐서 할 만큼 매사에 신중해진다. 그러면 말을 해놓은 뒤에도 아무 탈이 없다.

수양이 모자란 사람들이 넘쳐난다. 바르고 착하지 않은 사람들이 많다는 말이다. 그런 사회가 잘되기는 어렵다.

수양은 오직 자신의 몫이며 수양의 길은 멀리 있지도 않다. 고승이 면벽수도 하듯이 참선할 필요도 없고 하루 5분이라도 눈을 감고 명상을 하며 자신의 언행을 돌이켜보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sonsj@seoul.co.kr
2020-03-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