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찜찜한 수돗물/김균미 대기자

[길섶에서] 찜찜한 수돗물/김균미 대기자

김균미 기자
입력 2020-07-26 20:38
업데이트 2020-07-27 0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로운 버릇이 생겼다. 집에서든 밖에서든 수돗물을 사용할 때면 1~2초 물을 흘려보내고 이물질이 섞여 있지는 않았나 하고 세면대와 욕조 바닥, 싱크대를 유심히 들여다본다. 인천 일부 지역과 부산·서울·경기 등의 수돗물에서 유충이 나왔다는 신고가 잇따른다는 보도가 나온 뒤로 생긴 버릇이다.

일부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고, 원인을 찾아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하니 기다려봐야겠지만 그래도 꺼림칙한 건 어쩔 수가 없다. 샤워기 필터와 수도꼭지에 끼우는 필터가 불티나게 팔린다고 한다. 생수로 양치하고 샤워까지 하는 사람들도 있는 모양이다. 수돗물 대신 생수로 요리를 한다고 안내하는 음식점까지 등장했다.

한국 수돗물은 끓이지 않고 그냥 받아 마셔도 될 정도로 수질 관리가 철저하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왔다. 서울시 행사에는 생수병에 수돗물을 넣어 제공되는 경우도 많았다. 그동안 수돗물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돼 왔다. 하지만 지난해 인천 붉은 수돗물에 이어 수돗물 유충 사건을 보면서 불안감과 불신이 고개를 든다. 반년 넘게 계속되는 코로나에 더위는 기승을 부리고, 수돗물 사건까지 겹쳐 불쾌지수만 높아진다. 안전한 마실 물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

2020-07-27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