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생체인식정보/전경하 논설위원

[길섶에서] 생체인식정보/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4-01-05 00:26
업데이트 2024-01-05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살고 있는 아파트단지 입구 곳곳에 가구별 비밀번호로 열 수 있는 철문이 있었다. 종종 고장 나더니 철문이 사라지거나 밀기만 하면 열리는 철문만 남았다. 이게 반갑다. 퇴근길, 무거운 백팩을 메고 장바구니까지 들면 비밀번호 누르기가 번거로웠다. 종종 틀리기도 하고. 스마트키는 안 갖고 다니기 일쑤고 지문인식은 ‘웬 생체인식정보 요구?’라는 은근한 반감으로 등록하지 않았다.

요즘은 지문인식은 물론 얼굴인식으로 공동현관문을 여는 대규모 아파트단지도 늘고 있다. 편하겠지만 마음 한구석에서 ‘해킹이 안 두렵나’라는 생각이 든다. 실제 2021년 아파트 월패드가 해킹돼 17만 가구의 내부 생활을 담은 동영상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았나. 은행에서 손바닥 정맥 인식으로 돈을 찾을 수 있고, 일부 국가는 얼굴인식을 출입국 관리에 쓴다. 이런 곳들이야 보안인력이나 기술이 뛰어나지만, 아파트들도 그럴까. 조직 규모, 보안 능력과 상관없이 생체인식정보를 쓰려는 시도는 안 했으면 좋겠다.
전경하 논설위원
2024-01-05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