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소통법

[길섶에서] 소통법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4-05-23 03:18
수정 2024-05-23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최근 모임에서 만난 60대 초반의 법률사무소 대표가 직원들의 전화 부탁에 대해 말했다. 전에는 ‘전화해 주세요’가 일을 진행하면서 어려움이 발생해 물꼬를 터야 할 때였는데 지금은 계약할 때부터란다. 전화 대신하는 사람이 된 거 같단다. 이 말에 40대 참석자가 맞장구를 쳤다. 직원들이 상대방에게 카카오톡이나 이메일을 보내 놓고는 마냥 기다린다고. 급한 일이면 바로 전화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는다고 했다.

나는 당장 급하지 않은 일은 카톡이나 문자를 보내 놓고 기다린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반나절이 기다리는 한계점이다. 기다리다가 답답해져 전화하려 할 때쯤 상대방이 응답하는 경우가 많다.

카톡 응답 시간은 얼마 정도면 될까. ‘친구 이상 연인 미만’이라는 썸 관계에서는 이 시간이 중요하다는데. ‘1’ 표시가 사라져 읽었다는 것이 확인되는 것도 어찌 보면 답장이다. 읽어 놓고 아무 대꾸도 하지 않는 ‘읽씹’을 할 수 있는 관계나 상황은 어떤 걸까. 소통이 자꾸 복잡해진다.
2024-05-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