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벼랑끝 저널리즘/문소영 논설위원

[씨줄날줄] 벼랑끝 저널리즘/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3-06-17 00:00
업데이트 2013-06-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문 없는 정부와 정부 없는 신문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주저 없이 후자를 택하겠다.” 1787년 미국의 제3대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은 언론의 자유를 옹호한 유명한 말을 남겼다. 권력이 언론의 자유를 통제하려 할 때마다 금과옥조처럼 인용되는 말이다. 그러나 제퍼슨은 1800년 대통령이 되고 나서 입장을 바꿨다. “신문을 읽지 않는 사람은 읽는 사람보다 진실에 가깝다”라는 발언으로 언론에 대해 불쾌한 심정을 드러냈고, 더 심한 말도 했다. “대통령에 관해 신문에 실린 내용은 아무것도 사실이 없다. 기자들 손 좀 봐야겠다.”

신문·잡지·TV·라디오 등 매스미디어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작성한 기사나 그에 대한 활동을 우리는 저널리즘(Journalism)이라고 부른다. 저널리즘의 라틴어 어원인 지우르나(Jiurna)가 종이에 쓴 일기나 기록을 말하는 것임을 감안하면, 당초 저널리즘은 종이 기록에 국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뉴미디어가 나오면 모두 저널리즘 범주로 포괄됐다. 라디오, TV, 케이블 TV는 물론 1990년 후반에 등장한 인터넷신문도 ‘인터넷 저널리즘’으로 통한다. 최근엔 네이버·다음 등 포털들이 ‘포털 저널리즘’이란 이름으로 맹활약을 하고 있다.

저널리즘의 원조인 종이신문은 뉴미디어에 압도된 상황이다.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한국은 속도와 정도가 좀 심하다. 전통미디어임을 강조하지만 올드미디어(Old media)라는 이름처럼 늙은 종이호랑이가 된 게 아닌가 싶다. 2012년 기준으로 포털에서 뉴스를 접하는 사람은 93%, 더 이상 종이신문을 읽지 않는 사람은 59.1%나 된다. 신문 정기구독률은 1996년 69.3%에서 2012년 24.7%로 가파르게 추락했다. 열독률은 2002년 82.1%에서 2012년 40.9%로 반토막 났다. 인터넷 포털과 치열하게 경쟁해 활로를 찾아야 할 종이신문 입장에선 더 이상의 최악이 없을 것 같은 상황이다.

그런데 악재가 또 터졌다. 최근 배임 혐의를 받는 모 신문사 사주가 기자들을 해고하고 편집국을 폐쇄했다. 한국 언론 사상 초유의 일이다. 특정 회사의 노사 갈등이라고 치부하기엔 언론 전체가 입을 피해가 너무 커 보인다. 정론직필해야 할 기자들에게 회사의 꼭두각시가 되겠다는 서명을 요구했다하니, 언론은 정치권력뿐 아니라 자본권력에도 성가신 존재인 모양이다. 하지만 권력과 자본에 굴하지 않는 불편한 존재가 빛을 발할 때 국민의 알 권리는 보장된다. 저널리스트에게 굴종을 강요하는 나라에서 권력과 자본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제4부로서의 언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3-06-17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