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퍼스트 무버의 조건/문소영 논설위원

[씨줄날줄] 퍼스트 무버의 조건/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4-03-19 00:00
업데이트 2014-03-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48년 대한민국 건국 이래 경제 발전의 핵심적 가치는 ‘캐치업(catch-up·선진국 따라잡기)’이었다. 1980년 때까지 주로 일본 따라잡기였다. 법률제정부터 기업의 조직과 철학, 인재양성까지 모두 베껴오다시피 했다. 이런 기업들을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발 빠른 추격자)’라고 불렀다. 대표적인 기업이 삼성과 포스코였다. 패스트 팔로워는 세계적인 선두기업이 시장에 내놓은 상품 중에서 대박이 난 상품들을 모방해서 더 싼 가격으로 승부를 본다. 때문에 기본적으로 패스트 팔로워는 고부가가치를 낳는 창조적인 제품보다 원가절감 등을 통한 저가의 상품으로 시장을 넓히는 박리다매에 힘쓰게 된다. 기술개발비가 천문학적인 상품을 내놓는다고 시장에서 호평을 받는 것이 아니니, 따라잡기 전략은 달리는 호랑이 등에 올라탄 효과라고 할 수 있겠다. 등에 올라타기만 한다면 힘을 들이지 않고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박리다매 방식으로는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대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한국을 성장시키기 위해서 절대적 가치는 이제 ‘퍼스트 무버’(first mover·선도자)라는 생각이 확산되고 있는 이유다. 개발시대의 각종 규제를 타파해 창조적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우리도 선도자였던 때가 있었다. 조선에서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들었고, 청나라 것으로 알려진 적도 있지만 세종이 만든 측우기 역시 서양보다 200년 앞서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은 세계 최초를 만들어놓고 더 많이 활용되고 더 발전할 수 있도록 하지 못했다. 왜 그랬을까. 몇 가지가 부족했다. 상상력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가 충분하지 않았다. 실패를 통해 배우는 창조적인 학습능력도 없었다. 연암 박지원이 지적했듯이 법고창신(法古創新)을 못했다. 외부문물을 수용하는 포용력과 감수성도 부족했다. 또 백면서생이 관료가 돼 지시하면 현장을 잘 아는 농부와 장인들은 울며겨자먹기식으로 따라야 했다.

최근 영상물심의위원회의 영화 포스터 심의가 논란이다. 외국 여자 배우의 가슴골이나 남녀의 키스 장면이 포함된 포스터들을 ‘유해성 있음’으로 판단한 탓에 영화사에서 수정작업을 한 것이다. 이슬람 근본주의 국가도 아니고, TV 연예프로에 ‘하의상실’ 여배우들이 즐비한 나라에서 하품 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강남스타일’로 세계적인 가수가 된 싸이의 ‘라잇나우’가 한때 여성부로부터 청소년유해물로 지정됐던 것을 기억하라. 문화분야에서 퍼스트 무버가 되려면 인간의 정신과 감각을 억압하는 1970년대 구닥다리식 엄숙주의 규제에서 벗어나 표현의 자유를 허용해야 하지 않을까.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3-19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