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우리에게는 향토가 있다/강형기 충북대 행정학 교수·향부숙 대표

[열린세상]우리에게는 향토가 있다/강형기 충북대 행정학 교수·향부숙 대표

입력 2010-02-06 00:00
업데이트 2010-02-0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역이라는 인간의 거리에 서면, 그 세계에서 주민이라는 이름으로 생을 영위하는 삶을 볼 수 있다. 그 삶이 자아내는 기억의 풍상에서 국가나 국민이라는 개념으로는 떠오르지 않는 역사의 릴레이를 느낄 수가 있다. 지역이라는 삶의 거리에 서서, 그 길목에서 주민이라는 이름으로 일상을 살아왔고 또 살아가는 삶(生)의 숨결에 마음을 적셔 보자. 지역의 흙과 물로 이루어진 향토에서 생명을 잉태하고, 생명을 키우며, 생명을 지켜 온 숨결을 느껴 보자. 출신지도, 세대도, 그리고 직장이 달라도, 지금 내가 존재하는 곳은 이곳 여기이다. 이 땅, 이 강기슭을 느껴 보자. 속 좁은 감정을 넘어 ‘마음의 고향’으로 다가오는 향토를 느껴 보자.
이미지 확대
강형기 충북대 지방자치학 교수
강형기 충북대 지방자치학 교수


우리에게는 아름다운 향토가 있다. 향토는 우리가 사랑하고 아끼는 만큼 가꾸어졌고, 그 속에서 사랑하고 배우며 향토와 함께했다. 연대하는 삶을 가르쳐 주었던 향토에는 이기심을 억제하게 하는 공유의 목적이 있었고 소망하는 것을 위해 손 모아 실천하는 풍토가 만들어졌다. 향토에서 연대하는 삶은 애국심을 배양했고, 향토가 있었기에 국토가 있다.

하지만 지금, 우리의 향토는 숨을 헐떡거리고 있다. 토지로만 존재하는 아득한 향토에서 아름답고 정겹던 풍토는 이제 추억으로 기억되고 있다.어떻게 해야만 향토와 풍토를 다시 찾을 수 있을까. 마음 떠난 마을에서 ‘모두의 문제’는 ‘남의 문제’가 되었고 골목안의 문제는 행정의 일로 전가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소망하는 것이 있어도 손 놓고 기다릴 뿐. 남 탓만 하는 마을에서 형식적으로 일하는 지도자들. 그러나 그냥 이렇게 살아갈 수만은 없다. 사랑하는 향토가 있어야 지키고 싶은 국토가 있다. 사랑하고 싶은 향토, 사랑받는 향토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랑하는 사람을 키워야 한다.

이대로 방치한다면 천 년을 이어온 마을 대부분이 사라지고 수많은 도시가 붕괴될 것 같다. 역사는 가르치고 있다. 한 민족의 역사가 그 주인으로부터 버림받을 때 이를 옹호해 줄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것을. 한 마을의 역사나 운명의 주인공은 그 마을 사람들이다. 마을 사람들이 자신의 운명의 주인공이 되지 못하거나 자신의 역사에 대한 설득력을 잃게 되면 그 존재의 소멸은 불가피하게 된다.

그러나 좀 더 넓게 볼 필요가 있다. 사라져 가는 마을과 붕괴하는 도시의 운명은 지금 그곳에 사는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가 경쟁력은 대도시의 경쟁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단지화·획일화된 주거공간과 생활패턴은 우리의 고유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수원지를 마르게 하고 있다. 지방마다의 고유 문화, 방방곡곡의 고유 가치를 키우고 활용해야 한다. 세계화 시대일수록 외국에서 모방하고 차용한 지식만으로는 살아남을 수가 없다. 전통마을이 사라진다는 것은 우리의 고유한 가치와 발상 그리고 상상력의 근원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우리의 고유한 과거가 사라지면 우리의 고유한 미래도 사라진다.

지금도 너무 늦지는 않았다. 지금부터라도 지역 사람들 스스로가 자랑스럽고, 방문하는 사람들도 그곳의 풍토에 매력을 느끼는 고장을 만들어야 한다. 마음 속으로 가 보고 싶었던 그 무언가와 만날 수 있는 지역을 만들어야 한다. 발전을 한다면서 잃어버렸던 ‘보이지 않는 그 무언가’를 만나고 체감할 수 있는 마을을 만들어야 한다. 청년에게도 노인에게도 살기 좋은 마을, 아이들이 자랑스러워하는 마을을 만들어야 한다. 아이의 아이도 그리고 그 아이의 아이도 그렇게 살 수 있는 마을을 만들어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하여, 그리고 당신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들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 비록 작은 일일지라도, 당신을 기다리는 무수한 일들이 있다. 여기, 기회가 있다.

이제는 때가 되었다. ‘내가 살아갈 마을의 미래를 위해’라는 그저 단순한 생각이라도 좋다. 그저 무언가 하고 싶다는 마음 하나만 있어도 충분하다. 우선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해 보자. 마음 하나면 그것으로 준비는 다 되었다.
2010-02-06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