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잠은 재우고 공부 시킵시다/이상건 서울대 의대 교수

[열린세상] 잠은 재우고 공부 시킵시다/이상건 서울대 의대 교수

입력 2011-07-21 00:00
업데이트 2011-07-21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당오락’이라는 말이 있다. 네 시간 자면 시험에 붙고 다섯 시간 자면 떨어진다는 뜻이다. 그만큼 시험에 합격하는 것이 어렵고 그래서 열심히 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요즘도 이 말을 굳게 믿고 자녀들에게 잠을 못 자게 하면서 공부를 시키고 이를 당연하게 생각하는 부모들이 많다. 심지어 잠을 안 자고 공부하고 있으면 벌써 성적이 올라가는 듯 흐뭇하게 생각하기도 한다. 정말 잠을 줄여서 공부하면 성적이 올라갈까?

이미지 확대
이상건 서울대 의대 신경과 교수
이상건 서울대 의대 신경과 교수
수면이라고 하는 것은 ‘일시적이지만 다시 깨어나게 되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혼수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정상적인 생활을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요소다. 그리고 필요한 수면 시간은 사람에 따라 전혀 다르다. 어떤 사람은 하루 4시간의 잠으로 충분하지만 어떤 사람은 10시간의 수면이 필요할 수 있다.

최근의 여러 연구 결과에서 보면 수면이 부족한 경우에는 깨어 있는 상태에서도 뇌의 일부분이 잠에 빠지고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선 채로 잠을 자는 동물들에서, 또 일부의 뇌는 자면서도 먼 거리를 날 수 있는 새에서도 확인이 된다. 뇌는 부분적인 뇌세포들이 기둥처럼 뭉쳐서 하나의 실린더처럼 기능을 한다. 뇌는 수많은 실린더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서 기능을 하는 기계와 같다. 그런데 실린더가 너무 오랜 시간 쉬지 않고 일을 하면 한동안 더 이상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게 수면부족 상태다.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히 깨어 있는 것 같으나 이곳저곳의 실린더들이 더 이상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으니 정밀한 작동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단순한 행동은 몰라도 공부나 기억 같은 기능을 제대로 할 리가 없다.

실험 결과에서도 수면 부족 상태에서 시행한 뇌 기능검사에서 틀린 답의 숫자가 크게 늘어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 오답률은 수면 부족인 날이 늘어날수록, 수면 부족 시간이 길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

다음으로 기억에 대하여 잠깐 살펴보자. 기억에는 처음 뇌에 입력하는 과정, 그리고 장기간 기억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과정, 기억을 다시 불러내는 과정이 있다. 잠깐씩 기억을 불러내어 이용하는 과정을 특별히 작업기억이라고 한다. 컴퓨터로 치면 램(RAM)에 해당하는 것이 작업기억이고 하드디스크에 해당하는 것이 장기기억이다. 그런데 수면은 기억에 관련된 세 가지 과정 모두에 필수적이다.

반대로 수면이 부족하면 기억이 처음 뇌에 입력되기도 힘들고 또 오랜 기억으로 저장되기도 힘들다. 더 중요한 것은 기억을 잠깐씩 불러내기가 힘들어진다는 점이다. 열심히 공부해서 머리에 집어넣어도 막상 시험 시간에 기억을 불러낼 수가 없다. 여기에다가 수면 부족이 지속되면 우울증을 앓기가 쉽다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안 그래도 공부와 진로 문제로 걱정이 많은데 여기에다 우울증까지 오면 큰일이다.

그렇다고 학생들이 이 글을 읽고 잠 많이 자게 되었다고 좋아할 것은 없다. 하고 싶은 것 다하고 자면 좋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잠에 의해서 기억이 강화되는 현상은 공부를 하고 바로 잠을 잘 때 최고로 나타난다. 게임이나 TV 시청을 하고 자면 우리가 필요로 하는 깊은 수면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릴 뿐 아니라 학습한 내용이 장기적으로 저장되는 데 지장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다. 다시 말하면 잠자기 직전까지 열심히 공부하고 자야 공부한 내용이 기억에 잘 남는다는 것이다.

한 가지 더, 수면 부족의 피해는 어른·청소년 할 것 없이 똑같이 적용된다. 아침 일찍 회의하는 상사는 본인은 잠이 없어서 일찍부터 일을 시작하고 싶겠지만 억지로 끌려 나온 부하 직원들은 죽을 맛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는 고사하고 하루종일 업무에 지장이 생긴다. 수면 부족으로 악명이 높은 전공의 과정에서도 수면 부족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판단 장애와 실수를 막기 위하여 미국의 경우 법으로 일정시간 이상 연속 근무를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이래저래 잠은 자고 해야 한다.

2011-07-21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