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책 한 권만 읽기/석영중 고려대 노문학과 교수

[열린세상] 책 한 권만 읽기/석영중 고려대 노문학과 교수

입력 2011-07-29 00:00
업데이트 2011-07-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석영중 고려대 노문학과 교수
석영중 고려대 노문학과 교수
러시아 시인 만델슈탐은 평생 동안 딱 한 권의 책만 읽는 사람이야말로 가장 이상적인 독자라고 했다. 예전에 이 말을 들었을 때는 시인이라서 뭔가 비유적으로 말했나 보다라고 생각하고 그냥 넘어갔다. 그런데 요즈음 우리나라 청소년의 독서 현황을 접하다 보니 새삼 만델슈탐의 말이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출판연구소에 의뢰해 실시한 2010년 국민독서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초등학생은 한 학기에 평균 29.5권의 책을 읽는다. 고등학생은 대학 입시 때문에 그렇겠지만 그보다 훨씬 적은 7.6권을 읽는다. 고등학생이 한 학기에 7.6권을 읽는 것이 적당한 것인지 부족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29.5권이건 7.6권이건 그것이 문제는 아니라는 점이다.

나는 면접에 응하는 학생들이나 연구실에 찾아오는 학생들에게 꼭 지난 3년 동안 주로 어떤 책을 읽었는지 물어본다. 학생은 매우 곤혹스러워하며 어렵사리 몇 권의 책을 생각해 낸다. 그러면 나는 그 중에서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책에 관해 말해 보라고 한다. 학생은 아까보다 더 곤혹스러워한다. 대부분의 경우 오래전에 읽어서 잘 생각이 안 난다, 읽긴 읽었는데 정리가 잘 안 된다, 이런 식의 답변이 되돌아온다. 더 심한 경우에는 아예 책의 저자와 내용을 다 뒤섞어 엉뚱한 대답을 하기도 한다.

나는 청소년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너무 많이 읽어서, 혹은 너무 많이 읽으려고 애를 써서 문제가 된다고 생각한다. 학생들도 학부모들도 일선 교사들도 모두 독서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독서 강박증이 생긴다.

여러 출판사와 기관과 단체에서 제공하는 ‘○○○를 위한 권장도서 목록’, ‘필독 100선’, ‘필독 50선’ 같은 독서 목록들은 원래 책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작성된 것이지만 이제는 오히려 학생들에게 조급증을 선사하고 있다. 시간은 촉박한데 목록에 있는 100권은 기필코 다 읽어야 할 것 같다. 그리하여 이때부터 독서 목록과의 전쟁이 벌어진다. 인터넷을 떠도는 온갖 정보들과 고전에 대한 내용 요약은 이 전쟁의 필수적인 무기다. 전쟁이 끝난 뒤 머릿속에 남는 것은 제목과 저자의 이름뿐일 때가 많다.

이런 식으로 읽을 거라면 일 년에 100권을 읽건 1000권을 읽건 별 의미가 없다. 차라리 무거운 고전 한 권을 제대로 읽는 것이 훨씬 낫다. 만일 일 년에 딱 한 권의 책만 읽어야 한다면 우리는 그 한 권의 책을 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사를 할 것이다. 인터넷 검색도 해보고 여러 권장 도서 목록을 비교도 해보고 자기가 정말 좋아하는 장르가 무엇인지 자문도 해볼 것이다. 이 과정 자체가 이미 독서다. 필독서 목록에 있는 책을 1번부터 숨 가쁘게 읽어 나가는 것과는 비교도 할 수 없다. 그런 다음 꼭꼭 씹어 먹듯이, 관련 서적도 읽어 가며, 마음에 와 닿는 대목에는 줄도 쳐 가며, 이런저런 생각도 해 가며, 긴 호흡으로 책을 읽는다. 일 년에 한 권만 읽을 예정이므로 시간은 충분하다. 이렇게 읽다 보면 해당 책뿐 아니라 해당 책의 내용과 관련된 온갖 지식과 정보가 자연스럽게 나의 것이 된다. 그리고 그렇게 읽은 책은 도저히 잊을 수가 없다.

우리의 뇌는 특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른바 장기증강(LTP)이란 것인데, 함께 연결되는 신경세포들의 연결 강도와 빈도가 회를 거듭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그 영향력이 매우 장기화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쉽게 말해서, 우리가 무언가를 처음 할 때는 언제나 시간과 노력이 많이 요구되지만 하면 할수록 시간과 노력이 단축된다는 뜻이다. 이 장기증강 덕분에 책 한 권을 제대로 읽은 사람은 결국 수월하게 10권, 100권도 제대로 읽을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 학생 일인당 평균 독서량은 지난 200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다. 아마도 각급 학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독서를 장려해 온 덕분일 것이다. 그러나 독서량의 증가가 곧 지적 성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독서 방식의 질적 제고를 위한 좀 더 현실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2011-07-29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