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떠들지 않아요”/신지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열린세상] “떠들지 않아요”/신지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입력 2022-10-24 20:06
업데이트 2022-10-25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지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신지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날씨가 빛나던 10월 어느 토요일, 넓은 정원이 있는 친구의 집에서 음식도 나누고 이야기도 나누며 10월의 상쾌함을 만끽하는 호사를 누렸다. 코로나로 오랫동안 만나지 못하다가 지난여름 오랜만에 만난 우리는, 다음에는 번잡한 카페보다는 집에서 만나기로 하고 날짜를 잡았다. 너른 마당을 가진 친구의 고마운 제안 덕분이었다.

친구와 친구 배우자의 환대 속에서 우리는 즐겁고 편안한 토요일 오후를 보냈다. 20년 만에 다시 찾은 친구의 집, 그리고 거기서 다시 만난 친구의 남편은 세월이 잘 스며든 모습이었다. 잘 가꾼 정원만큼이나 편안하고 여유로웠으며 행복해 보였다. 지난봄부터 한 초등학교의 사서 선생님으로 임용이 돼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더니 말 그대로였다. 얼굴은 환했고 표정은 온화했다.

우리를 위해 잔디를 깎고 불을 피워 고기를 구워 주던 친구의 남편은 뒷정리를 한 후에 자연스럽게 우리 이야기에 합류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내게 묻고 싶은 게 있다고 했다. 초등학교에 가 보니 선생님들이 쓰는 말 중에 아주 이상하게 느껴지는 말이 있는데 그걸 어떻게 봐야 할지 모르겠다며 운을 떼었다.

그 말이 바로 “떠들지 않아요”였다. 아이들이 소란스러울 때 선생님이 “떠들지 않아요”라고 한다는 거였다. 그런데 이 말은 정말 이상하게 들린다며 이런 틀린 말을 해도 되는 건지 묻고 싶다고 했다. 덧붙여 요즘 널리 퍼진 “들어오실게요”, “이쪽으로 오실게요”도 이상한 말인데 요즘 사람들은 왜 이런 말을 쓰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어떤 말이 오가고 있는지 알기 어려운 나는 “떠들지 않아요”가 매우 신선하게 들렸다. “떠들지 마세요”나 “떠들지 마!”보다 훨씬 배려심이 담긴 표현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학생들을 어떤 존재로 바라보는지 참 많은 변화가 있구나 하는 생각이 먼저 들어서 반가웠다.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떠들지 말 것을 어떤 표현에 담아 전달해야 할까를 고민한 선생님들의 마음이 보였다.

그래서 나는 친구의 남편에게 함께 언어 탐험을 떠나 볼 것을 제안했다. 아이들이 떠드는 상황에서 아이들에게 조용히 할 것을 요구할 때 사용하는 전형적인 종결법은 명령형 어미를 사용한 명령문이다. 존댓말로 한다면 “떠들지 마요”, “떠들지 마세요”, “떠들지 마십시오”, 반말로 한다면 “떠들지 마”, “떠들지 마라”와 같이 말이다.

그런데 명령문은 듣는 사람에게 행동을 요구하는 말이어서 하는 사람에게도 듣는 사람에게도 가장 부담스러운 종결법이다. 명령문 대신 ‘예, 아니요’로 답하는 판정 의문문으로 명령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은 말하는 사람이 일방적으로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듣는 사람에게 선택지를 주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창문 닫아!” 대신 “창문 닫아 줄래?”라고 말하는 까닭이다.

하지만 의문문도 정보를 요구하는 것이기에 상대에게 부담을 준다. 그러니 가장 부담이 적은 평서문으로 명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다. “떠들지 않아요”와 “돌아누우실게요”는 이런 맥락에서 사용되는 말로 이해할 수 있다. 현재의 사태와는 다르지만 희망하는 사태를 진술해서 떠들지 말 것을 요구하고, 1인칭의 의지를 나타내는 ‘ㄹ게요’를 2인칭에 사용해서 나의 명령이 아니라 당신의 의지로 행동하는 것으로 말이다.

친구의 남편은 언어 탐험을 끝내며 이런 말을 했다. 사실 “떠들지 않아요”라는 말도 이상했지만 오랜 휴직 후에 복직한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떠들지 마”라고 말하는 건 더 이상하게 들렸다고. 더 힘을 가진 쪽이 듣는 사람을 생각하는 말하기를 하는 방향으로 언어 사용이 더 진보했으면 한다고. 정말, 언어는 인간의 모든 것에 대한 모든 것이다.
2022-10-25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