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생명 얻은 ‘강아지’ 팀 버턴의 괴짜 성향 오롯이

조용한 소년 빅터의 단짝은 강아지 스파키다. 빅터의 부모는 아들이 집에만 틀어박혀 지내는 게 걱정이다. 특히 아빠는 아들이 과학경진대회에 나가는 대신 친구들과 운동장에서 야구를 했으면 하고 바란다. 아빠에게 떠밀려 야구 경기에 나간 날, 어처구니없는 사고로 스파키가 죽는다. 시름에 잠겨 지내던 빅터는 근육의 전기 반응에 대한 수업을 듣다 불가능한 일에 도전하기로 마음먹는다. 애완견 묘지에 묻힌 스파키를 꺼내 온 빅터는 다락방에서 비밀 실험에 매진하고 소년의 간절한 소망대로 스파키는 다시 생명을 얻는다. 문제는 빅터의 비밀을 눈치챈 악동 친구들. 아이들이 저마다 실험에 뛰어들면서 평온하던 마을은 혼란에 빠진다.

‘프랑켄위니’는 팀 버턴 감독이 1984년에 선보인 동명 단편영화를 장편으로 다시 만든 작품이다. 소년이 만든 홈무비로 꾸민 오프닝부터 행복에 겨운 결말까지 이야기의 큰 줄기는 원작을 그대로 따랐다. 1982년 단편 ‘빈센트’의 자취도 여기저기서 느껴진다. 공포영화의 아이콘인 빈센트 프라이스를 흠모하고 어둠의 세계에 매료된 ‘빈센트’의 주인공 소년은 버턴의 취향이 그대로 반영된 인물이며 좀비 강아지를 끌고 다니고 싶은 빈센트의 괴짜 성향은 빅터의 캐릭터로 옮겨 왔다(프라이스의 팬인 버턴은 그의 대표작 ‘드라큘라’를 이번 영화에 삽입하기도 했다). 영화의 배경인 ‘뉴홀랜드’는 ‘가위손’의 마을을 연상시키고 그간 버턴의 영화에 출연한 배우들이 대거 목소리를 제공했다. ‘프랑켄위니’는 버턴이 자기 영화와 자기 영화에 도움을 준 사람들에게 바치는 헌사로 보인다.

‘프랑켄위니’의 원형은 제임스 웨일의 ‘프랑켄슈타인’과 ‘프랑켄슈타인의 신부’다. 빅터의 과학적 재능이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후손으로서 물려받은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고, 스파키를 되살리는 장면은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실험을 거의 비슷하게 재현하며, 풍차와 묘지 등의 풍경은 웨일의 영화에서 따다 놓은 듯하다. ‘프랑켄위니’에서 가장 짜릿한 순간은 되살아난 스파키가 깨진 거울 속의 자기 모습을 바라보는 때다. 그런데 ‘프랑켄위니’는 괴물성이라는 심각한 주제에 매달리기보다 괴물을 대하는 사람들의 시선에 더 비중을 둔다. 원작이 괴물을 규정하는 편협한 시선을 소재로 삼았다면 리메이크 버전은 현실의 안락함만 추구하는 교외의 중산층을 풍자하는 데 적지 않은 부분을 할애한다.

원작과 리메이크의 변화와 기술적 차이는 빅터가 엄마, 아빠 앞에서 보여주는 홈무비에서부터 감지된다. 흑백인 건 여전하지만 3차원(3D) 안경을 쓰고 봐야 하고 촬영과 편집 등에서 엄청난 기술적 변화가 드러난다. 그러면서도 원작의 정서는 별로 훼손되지 않았다. 인간의 손길이 담긴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덕에 원작의 소박한 느낌이 유지되고 있으며 흑백의 부드러운 이미지는 영화에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했다. 리메이크 버전의 으뜸가는 볼거리는 마을 축제에서 벌어지는 한바탕 소동이다. 축제에서 상영 중인 ‘밤비’를 비웃는 것처럼 버턴은 유쾌한 악취미를 맘껏 발휘한다. 괴수 영화를 비롯한 수많은 B급 영화에서 튀어나왔을 성싶은 괴물들이 거리를 활보하며 난동을 피운다. 기이한 유머를 즐기는 버턴의 친구라면 그 장면에서 손뼉 치고 싶어 손이 근질거릴 것 같다. 11일 개봉.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