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명이 ‘2000만 배우’…흥행비결 대체 뭐길래

그의 이름 앞에는 ‘2000만 배우’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그가 출연한 영화 ‘해운대’와 ‘광해, 왕이 된 남자’가 모두 1000만 관객을 넘어 흥행하면서 생긴 별명이다. 배우 김인권(34)의 이야기다. 코미디 영화 ‘강철대오:구국의 철가방’을 통해 개성파 조연의 딱지를 떼고 한 작품을 오롯이 책임지는 주연배우로서 입지를 쌓은 그를 지난 24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두번째로 주연을 맡은 영화 ‘강철대오’를 보고 많이 웃어달라는 김인권.<br>연합뉴스


→첫 주연을 맡았던 저예산 영화 ‘방가? 방가!’(2010) 이후 상업 영화로 본격적인 흥행 시험대에 올랐는데.

-단두대에 오른 것 같다(웃음). 무엇보다 영화가 부끄럽지 않아서 다행이다. 사실 코미디라는 장르가 욕하면서 웃는 장르이지 않나. 분명히 장르는 코미디인데 울었다는 분들이 있을 정도로 ‘강철대오’는 매력이 있다. 우리가 잊고 살았던 20대의 순수함을 일깨워 주는 영화다.

●“강철대오는 20대의 순수함을 일깨워 주는 영화”

→영화는 중국집 배달원 대오(김인권)가 평소 좋아하던 여대생 예린(유다인)에게 고백하러 갔다가 대학생들의 민주화 운동에 휩쓸리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1980년대 학생 운동을 소재로 멜로와 코미디로 풀어낸 것이 신선하다.

-영화는 1985년 서울 미국 문화원 점거 농성 사건을 소재로 해 당시 시대상을 많이 담고 있다. 이 사건을 통해서 현재 우리의 삶을 풍자하고 있다. 서로 스펙을 따지고 경제적인 종속 관계에 있는 2012년 젊은이들에게 시대를 함께 고민하면서 살았던 1985년 젊은이들의 뜨거운 열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대오와 예린의 관점에서 보면 이 영화는 슬픈 영화다. 대오는 시대적인 아픔과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다. 마지막까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 희생하는 대오는 참 불쌍하다. 어떻게 보면 이 영화는 대오의 혁명적인 사랑에 관한 이야기다(웃음).

→주인공 대오는 잘생기지도 않고 돈도 없고 가방끈도 짧은 남자다. 이처럼 주로 코믹한 캐릭터를 맡았는데 불만은 없나.

-없다. 한국 영화가 코미디 장르를 폄하하는 시각이 있는 것 같다. 외국에서는 코미디 배우에 대한 존경심도 어마어마하고 코미디 장르의 저변도 넓은 편이다. 물론 한국에 제대로 된 코미디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다. 그래서 육상효 감독의 코미디가 그 길을 개척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풍자와 조롱 등 현실을 구사하는 방식이 세련되고 유치하지 않고 수사법도 다양하고 고급스럽다. 내러티브의 연계성도 뛰어나다. 난 배우라기보다 코미디언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이주일이나, 심형래, 주성치, 찰리 채플린, 짐 캐리 등의 코미디 연기를 좋아한다.

●“머리가 희끗희끗해져도 남 울리고 웃기는 코미디 연기할래”

→영화배우로서 본인의 외모에 대한 생각은.

-저만큼 못생긴 영화배우가 있나. 하지만, 외모와 상관없이 자신감이 있다. 저를 코미디언의 범주에서 생각해 본다면 웃기고 불쌍해 보여야 하지 않나. 중학교 때 교회에서 연극 무대에 서면 연기 잘한다는 칭찬을 자주 받았지만, 외모 때문에 대학(동국대 연극영화과)에서 연출을 전공했다. 연기를 시작한 이후에도 근사한 영화배우가 되겠다는 생각은 애초부터 없었다. 물론 살도 빼보고 성형외과도 들러보고 여러 과정을 거치기도 했다. 하지만, 그 외모 덕분에 영화 ‘방가? 방가!’에서 주연을 맡을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조연 생활을 오래했는데 억울했던 경험은 없었나. 연기 인생의 터닝 포인트를 꼽자면.

-주인공 친구 역할이라면서 시놉시스를 받았는데 10페이지가 넘도록 내 이름이 안 나올 때, 언론 시사회 때 나한테 아무런 질문이 들어오지 않을 때 내 존재감에 대한 회의감이 들거나 자조적인 생각이 든 적이 있다. 하지만, 데뷔작 영화 ‘송어’(1999)를 찍으면서 배우에 대한 꿈을 키웠고, 어떻게든 영화계에 발을 붙이고 있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영화 ‘해운대’(2009)의 윤제균 감독님은 비호감이었던 내 이미지를 호감으로 바꿔줬다.

→‘광해’에서 호위무사 역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는데, 본인 연기에 만족하나.

-고지식하지만 웃음도 들어갈 수 있는 인간미를 덧붙이려고 노력했다. 하선(이병헌)의 마지막 길을 지켜주는 장면에서 많은 시민이 시청 앞에 차려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분향소를 찾은 장면을 떠올렸다. 사실 첫 무대 인사 때 할아버지, 할머니 관객이 많이 보이면 1000만 관객을 동원할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광해’가 딱 그랬다.

→8년 전 결혼해 벌써 세 딸의 아빠다. 가장으로서, 배우로서 미래의 비전은.

-경제적, 정신적인 독립을 일찍 했기 때문에 결혼도 빨리했다. 앞으로 머리가 희끗희끗해져도 남을 울리고 웃기고 교훈도 있는 코미디 연기로 일가를 이루고 싶다. 대학 때 전공한 연출 욕심? 1년 동안 아무 감독도 불러주지 않는다면 그땐 먹고살기 위해서라도 스스로 연출을 해야 하지 않을까(웃음).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