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직한 파장 일으킨 ‘소년심판’

소년범을 혐오하는 판사 김혜수
기회 주면 바뀐다고 믿는 김무열
뺑소니·성폭행 실제 사건 토대로
왜 버려진 아이가 죄에 물드는지
과연 판사의 그 처분은 합당한지
손가락질보단 현실 그대로 짚어
넷플릭스 드라마 ‘소년심판’의 한 장면. 소년부 판사를 연기한 배우 김혜수·김무열은 “오늘 처분은 소년범에게 내리지만, 이 무게는 보호자들도 함께 느껴야 한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등을 가장 마음에 와닿는 대사로 꼽았다.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드라마 ‘소년심판’의 한 장면. 소년부 판사를 연기한 배우 김혜수·김무열은 “오늘 처분은 소년범에게 내리지만, 이 무게는 보호자들도 함께 느껴야 한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등을 가장 마음에 와닿는 대사로 꼽았다. 넷플릭스 제공
최근 국내외에서 묵직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소년심판’은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지난달 25일 공개 이후 무거운 주제에도 불구하고 넷플릭스 TV쇼에서 글로벌 톱10을 여드레 동안 지켰다. 8일 기준으로 톱10에서 빠졌지만 한국을 포함해 일본, 대만, 홍콩 등 정서가 비슷한 동아시아 6개국에서 1위를 지키고 있다. 소년범에게 내리는 이 처분은 합당한가. 죄의 책임은 그만의 것인가. 이 소년을 만든 건 누구인가. 영악한 아이들이 저지르는 끔찍한 범죄라고 쉽게 손가락질하는 대신 드라마는 아이들의 마음을 깊게 파고든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소년심판’은 현실을 꿰뚫는 명대사로도 울림을 준다. 소년부 판사를 연기한 배우 김혜수가 가장 마음에 와닿는 대사로 꼽은 건 이것이다. “오늘 처분은 소년범에게 내리지만, 이 무게는 보호자들도 함께 느껴야 한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br>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오리지널 ‘소년심판’은 현실을 꿰뚫는 명대사로도 울림을 준다. 소년부 판사를 연기한 배우 김혜수가 가장 마음에 와닿는 대사로 꼽은 건 이것이다. “오늘 처분은 소년범에게 내리지만, 이 무게는 보호자들도 함께 느껴야 한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넷플릭스 제공
10부작 시리즈를 이끌어 가는 건 “소년범을 혐오한다”고 서슴없이 말하는 판사 심은석(김혜수)과 “아이들은 기회를 주면 바뀐다”고 믿는 판사 차태주(김무열)다. 최근 화상으로 만난 두 배우는 “편협한 시각으로 분노하거나 슬퍼하는 대신 소년범을 더 깊게 돌아보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드라마는 다양한 관점으로 소년범죄를 바라본다. 가해자뿐 아니라 피해자와 그들의 가족까지 다루며 제각기 다른 판사 4명의 시각을 제시한다. 심은석이 차가운 머리라면 차태주는 뜨거운 가슴에 가깝다. 당연히 아이들을 대하는 방식부터 부딪치고, 부장판사 강원중(이성민)·나근희(이정은)와도 건건이 대립한다. 그러나 그 밑에 두껍게 깔려 있는 건 소년에 대한 고민이다. 김혜수는 심은석에 대해 “‘혐오’라는 강력한 대사로 시작하지만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며 “사안을 냉철히 들여다보고 실제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을 생각하는 인물”이라고 말했다.

“보여 줘야죠, 법이 얼마나 무서운지”라는 심은석의 대사는 일견 소년범에 대해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는 의지로 읽히지만 그 의미는 시간이 지날수록 복합적으로 다가온다. 처음 저지른 비행에 대해 제대로 된 판결을 내리지 않았을 때, 잘못을 혼내고 가르치는 어른이 아무도 없었을 때, 법이 제 역할을 하지 않았을 때 아이들은 어떤 것도 배우지 못한다. 법이 얼마나 무서운지 보여 줘야 한다는 말은 그 아이들의 미래까지도 고심하기에 나올 수 있는 것이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소년심판’은 현실을 꿰뚫는 명대사로도 울림을 준다. 소년부 판사를 연기한 배우 김무열이 가장 마음에 와닿는 대사로 꼽은 건 이것이다. “오늘 처분은 소년범에게 내리지만, 이 무게는 보호자들도 함께 느껴야 한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br>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오리지널 ‘소년심판’은 현실을 꿰뚫는 명대사로도 울림을 준다. 소년부 판사를 연기한 배우 김무열이 가장 마음에 와닿는 대사로 꼽은 건 이것이다. “오늘 처분은 소년범에게 내리지만, 이 무게는 보호자들도 함께 느껴야 한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넷플릭스 제공
극중 사건은 초등생 유괴 살인, 무면허 뺑소니 사망, 집단 성폭행 등 실제 국내에서 큰 파장을 불러일으킨 현실을 토대로 각색됐다. 자극적으로 다루지 않기 위해 배우들 역시 실제 소년부 판사들을 만나 얘기하고, 직접 소년법원에 가는 등 치열하게 고민했다. 김무열은 “법정에서 판사님이 자리에 앉은 뒤 기록을 살피는 짧은 순간이 있었는데, 그때의 침묵이 정말 무겁게 다가왔다”며 “판사가 내리는 결정이 한 인간, 아이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절절히 깨달았다”고 밝혔다.

김혜수는 “비행 이후 부모와 같이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들으며 진심으로 노력하고 바뀐 아이가 있었는데, 판사님이 울먹이는 목소리로 고맙다는 말을 세 번 하시더라”면서 “아이라고 책임이 중하지 않다는 게 아니라 그만큼 청소년 범죄는 가변적이라는 걸 많이 느꼈다. 관심을 주면 그만큼 바뀐다”고 강조했다.

잔인하기만 한 사건을 앞세우기보다 소년범죄의 현실을 면밀히 짚어 보려 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강력범죄보다 절도 같은 ‘생활 밀착형’ 범죄가 더 많다는 점에 주목했고, 가정에서 소외된 아이들이 어떻게 비행에 빠지는지 섬세하게 묘사한다. “소년범죄는 저지르는 게 아니라 물드는 것”이라는 대사는 청소년 시기 또래 집단의 영향력이 얼마나 큰지 짚어 내고, 시설에서 생활하던 아이들이 집단 탈출하는 에피소드에서는 시설 운영자 개인이 국가와 법의 일을 대신 하고 있다는 깨달음을 준다.

그리하여 드라마는 마침내 “미안합니다, 어른으로서”라는 사과로 끝을 맺는다. 직접 피해를 입은 이들에게 전하는 미안함이자 범죄의 길로 가도록 버려진 아이들에게, 어른으로서 건네는 사과다.

김정화 기자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