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마주한다는 건 꽤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때론 너무 아프고, 슬프지만 이를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한 뼘씩 성장한다. 노희경 작가가 들려주는 ‘라이브’는 진짜다. 그래서 조금 아프지만, 우리는 ‘라이브’를 보며 조금씩 자라고 있다.
‘라이브’ 노희경 작가
‘라이브’ 노희경 작가
tvN 드라마 ‘라이브(Live)’가 종영을 단 2회 남겨두고 있다.

‘라이브’는 전국에서 제일 바쁜 ‘홍일 지구대’에 근무하며 일상의 소소한 가치와 정의를 지키기 위해 밤낮없이 바쁘게 뛰며 사건을 해결하는 지구대 경찰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기존 경찰 드라마와 달리 멋지게 사건을 해결하는 영웅이 아닌, 누군가의 가족이자 친구, 이웃인 경찰들의 삶을 그려내며 안방극장에 뜨거운 울림을 전하고 있다.
tvN 드라마 ‘라이브’
tvN 드라마 ‘라이브’
그동안 주목하지도, 또 디테일하게도 다루지 않았던 지구대 경찰들의 모습. ‘라이브’가 특별한 건 이들의 삶을 생생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집필한 노희경 작가의 소감과 이야기를 들어봤다.

▲ 노희경 작가의 디테일한 취재에서 탄생한 ‘라이브’

‘라이브’를 보는 시청자들은 말한다. ‘라이브’의 제목이 ‘라이브’인 이유가 있다고.

사건사고를 매일같이 접해야 하는 일선 지구대 경찰의 모습이 실황처럼 생생히 담겨있는 것이다.

노희경 작가는 이를 위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시도를 했다고 밝혔다. 직접 몸으로 부딪히며 지구대 경찰들의 이야기를 모은 것.

노희경 작가는 “처음으로 보조작가들을 방송 1년 전부터 4명이나 작업에 투입했다“며 ”함께 일선의 시보경찰부터 퇴직 전 경찰까지 만나 취재를 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전, 현직 경찰이 쓴 책, 현장 매뉴얼, 각종 수사지, 통계, 그리고 수십 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기사, 국내는 물론 외국의 사건 사고를 찾아봤다. 장면마다 확인이 필요한 사항들을 시작부터 끝까지 경찰들의 자문을 요청해 받았다. 또 한 사람의 경찰이 아닌 여러 경찰들의 의견, 일반 시민들의 의견까지 수렴하려 노력했다“며 끈질긴 취재 과정이 있었음을 밝혔다.

▲ “여전히 찬란한 삶의 가치들 말하고 싶었다”

“이 세상은 영웅 한 명이 아니라, 다수의 평범한 사람이 이뤄낸 것.”

노희경 작가는 ‘라이브’를 통해 다양한 삶의 가치를 이야기하고자 했다.

노 작가는“’정의, 동료애, 사명감, 어른다운 어른, 젊은이다운 젊음, 공감, 유대, 연대, 이해’는 여전히 찬란하다 말하고 싶었다. 타성에 젖지 말고, 지금 이 순간의 삶을 관찰하라는 것이 ‘라이브’의 의미”라고 말했다.
tvN ‘라이브’ 팀
tvN ‘라이브’ 팀
▲ “따뜻한 이야깃거리 멈추지 않겠다”

‘라이브’는 18부작 중 단 2회만을 남겨두고 있다.

종영을 앞두고 노희경 작가는 “이번처럼 연출, 스태프, 배우들에게 배려 받으며 일한 적이 없었다”며 소감을 밝혔다.

그는 “작은 지문 하나도 작가의 의도를 살려주기 위해 힘겨운 작업 과정을 마다하지 않은 동료들에게 무한한 감동이 인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따뜻한 이야깃거리, 여러분을 닮은 주인공을 찾아 나서는 일을 멈추지 않겠다”고 전했다.

한편 tvN 드라마 ‘라이브(Live)’는 매주 토, 일요일 오후 9시 방송되며, 오는 6일 18회 방송을 마지막으로 종영한다.

사진=tvN

김혜민 기자 khm@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