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우리 사회의 키워드는 ‘행복’이라는 세간의 말을 반영하듯 영화계에서도 연초부터 원제와는 다르게 ‘해피엔딩’으로 시작하는 영화가 잇따라 개봉하게 됐다. 지난주 소개했던 ‘해피엔딩 네버엔딩’에 이어 이번 주에는 캐나다 영화 ‘해피엔딩 프로젝트’(원제 Still)가 관객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 그런데 두 영화가 완전히 다른 결을 갖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동화의 판타지에 직격탄을 날리면서도 다수의 등장인물들이 저마다 행복을 찾아가는 ‘해피엔딩 네버엔딩’과 달리 ‘해피엔딩 프로젝트’는 인생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어느 노부부의 치열한 말년을 그리고 있다. 전자가 동적인 풍속화요 도시적인 교향곡이라면, 후자는 정적인 풍경화이면서 목가적인 협주곡이다. 100세 시대를 맞이한 현대인들이 꿈꾸는 것은 무엇보다 노년의 행복일 터, ‘해피엔딩 프로젝트’가 시사하는 바는 여러모로 크다. 무엇보다 황혼의 순간까지 주체적인 삶을 살고픈 이들에게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의 주인공은 긍정적인 자극과 깊은 사색의 기회를 제공한다.

89세의 크레이그 모리슨(제임스 크롬웰)은 알츠하이머에 걸린 아내 아이린(주느비에브 뷰졸드)을 위해 그녀에게 적합한 새집을 짓기로 결심한다. 아이린의 치매 증상이 심해질수록 크레이그의 마음도 급해지는데, 이런 그의 사정과는 상관없이 시청 건축과는 노인의 집짓기에 이런저런 제동을 걸어오다가 급기야 크레이그를 소환하기에 이른다. 노인이 병에 걸린 아내를 돌본다는 설정은 미하엘 하네케 감독의 ‘아무르’(2012)를 떠올리게도 하지만, 철저히 아파트의 좁은 실내만을 도식적으로 보여 주었던 ‘아무르’와 가장 크게 대비되면서 이 영화의 특별함을 더해 주는 것은 탁 트인 시골의 정경이다. 천혜의 자연, 캐나다의 녹색 들판과 푸른 강은 한 세기 가까이 그 일부로 살아가고 있는 크레이그 부부와 완벽한 그림을 이룬다. 여기에 노인의 자글자글한 육체를 상징하는 낡은 집과 크레이그가 건축하는 새집의 단단한 골조가 번갈아 등장하면서 당국과 겪게 되는 갈등의 양상이 시각적으로 드러난다.

시청의 경고를 무시한 채 몇 달간 혼자서 집을 짓는 크레이그의 원대한 ‘프로젝트’는 고지식하고 무모해 보인다. 법을 거스르는 것과 아이린이 병마와 싸우는 것, 그리고 자신의 늙음에 맞서는 것은 비슷한 무게로 크레이그를 압박한다. 그러나 끝까지 건축을 포기하지 않는 그의 의지는 완고한 노인의 오만함이나 고집이 아닌, 오로지 아내에게 존엄한 죽음을 선사하고자 하는 진정성의 발현이기에 젊음보다 고귀하다. 사랑의 힘으로 충만한 크레이그는 지금까지 영화에서 묘사해 왔던 그 어떤 노인보다 강하고 진취적이며 독립적인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과연 크레이그가 집짓기를 무사히 끝내고 새집에서 아내와 여생을 보낼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궁금증은 부차적인 것이 된다. 이처럼 죽음을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이에게 어찌 불행이, 사신(死神)이 성큼성큼 다가오겠는가. 크레이그 부부의 인생은 법원의 판결과 상관없이 ‘여전히’(원제) 그들의 것이다. 20일 개봉. 103분. 12세 이상 관람 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