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은 자의 고통, 그 치유의 몸부림

‘아우슈비츠’. 지금은 폴란드의 작은 공업도시일 뿐이지만 인류가 존재하는 한 이 지명은 인간이 인간성을 상실해 버린 무섭고 끔찍한 장소의 대명사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투 라이프’에는 유대인 대량 학살로 악명 높은 이 공간에서 십대를 보낸 후 풀려난 세 여성이 등장한다. 죽음의 고비를 함께 넘겼던 이들은 행군 도중 헤어졌다가 신문사를 통해 15년 만에 극적으로 재회한다. 이번에는 낭만이 가득한 아름다운 프랑스의 베르크 해변에서.

사랑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간직한 ‘엘렌’, 강인한 페미니스트가 된 작가 ‘릴리’, 이름처럼 꽃무늬 드레스를 즐겨 입는 여성스러운 ‘로즈’는 곧잘 티격태격하면서도 이 기적 같은 만남의 기쁨과 감동을 감추지 못한다. 북적이는 휴양지의 눈부신 햇살과 아이들의 웃음소리는 첫 장면에서 짧게 보여줬던 컴컴하고 암울한 아우슈비츠의 풍경을 금방 잊게 할 만큼 따사롭고 즐겁기만 하다. 한껏 멋을 낸 세 사람이 해변에서 선탠을 즐기는 모습은 여느 피서객들의 휴가와 다름없이 즐거워 보인다. 아이스크림을 먹고, 쇼핑을 하고, 밤새 수다를 떨며 보내는 하루하루는 그녀들이 누리지 못했던 평범한 소녀 시절을 환기시킨다.

그러나 이 평온한 한때가 빼앗긴 청춘을 보상해 줄 수는 없다. 그녀들의 삶에는 떨쳐 낼 수 없는 아우슈비츠의 악령이 따라다니고 있으며 그것은 이들을 끊임없이 행복과 괴리시키고 있다. 잊으려 했던 참혹한 기억들을 다시 떠올리게 할 수도 있는 세 사람이 서로를 그토록 그리워했던 것은 자신의 상황을 온전히 이해해 줄 친구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시간이 흐르고 아우슈비츠가 그들의 가정에 남긴 불행의 씨앗들을 털어놓을수록 이들의 거리도 점점 가까워진다. 떨어져 있었던 십수 년간의 세월을 의식하듯 카메라는 연신 세 사람을 한 프레임에 담아낸다. 엘렌의 남편이 수용소에서 당한 폭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직후 어깨와 허리에 팔을 두르고 단단히 맞물린 채 해변을 걷는 뒷모습은 아주 인상적이다. 바닷물이 저만치 빠져 있는 건조한 배경 속에서 그렇게 세 여자는 말 대신 서로를 끌어안으며 위로를 건넨다. 로즈가 유리잔에 담아 둔 찻물을 우려낸 뒤 남은 티백처럼 휴가 동안 그들의 아우슈비츠는 물기도, 향도 베르크 해변의 대기 속으로 날아가 버린다. 그리고 상처를 보듬어 가던 세 사람은 유대교 의식을 통해 하나가 된 후 일상으로 복귀한다.

고통스러웠던 과거도 세월 앞에서는 순화되기 마련이지만 과연 아우슈비츠의 트라우마도 그렇게 조금씩 퇴색될 수 있을까. 영화가 실화를 바탕으로 했음을 보여주는 마지막 장면은 감독이 이 세 여성-그의 어머니를 포함한-을 바라보는 밝은 시각을 잘 대변한다. ‘투 라이프’는 불가항력적이었던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꿋꿋이 살아남아 생기와 유머, 우정으로 그 생채기를 치유해 간 여성들의 이야기다. 1960년대의 풍경은 물론이요 감수성까지 담아낸 영상과 운치 있는 왈츠 음악이 명배우 세 명의 연기와 더불어 영화에 품격을 더하고 있다. 7일 개봉. 15세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