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학대와 치유, 그 책임에 대하여

우는 아이에게는 산타 할아버지가 선물을 안 준다는 협박이 먹히던 시절이 있었다. 산타 할아버지에게 선물을 받으려면 ‘착한 아이’가 돼야만 했고, 그 ‘착한 아이’의 기준은 정확히 어른들의 눈높이에 맞춰져 있던 시절이다. 실제로 우리 사회에서 아주 오랫동안 아이들은 부모의 소유나 사회의 부속품으로 여겨져 왔으며 자녀 교육은 가정사(家庭事)라는 인식하에 물리적, 정신적 폭력이 엿보여도 묵인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시대가 바뀌어서 아동 인권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지기는 했지만 최근 사망으로 이어진 7살 원영군 폭행 사건은 아동 학대의 충격적인 현주소를 정확히 보여준다. 올해만 아동 학대로 인한 여덟 번째 사망 사건이다.

24일 개봉하는 ‘너는 착한 아이’는 학대받는 아이들을 중심으로 이들에 대한 가정과 학교, 나아가 한 마을의 책임을 묻는 작품이다. 재일교포 3세인 오미포 감독은 부모, 교사, 동네 주민들까지 각계각층의 인물들을 등장시킴으로써 의례적이고 진부할 수도 있었던 성격의 이야기를 입체적으로 조소(彫塑)해 냈다. 다양한 사건의 조합, 몇 개의 층위로 진행되는 서사의 양상을 보건대 그 세공에 품이 많이 들어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초등학교 신임 교사 오카노는 자신의 학급에 의붓아버지에게 폭행당하는 아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지만 자신의 서툰 대응력과 제도의 허술함만을 느끼게 된다. 한편 미즈키는 젊고 아름다운 엄마지만 어린 시절 트라우마를 극복하지 못한 채 습관적으로 어린 딸 아야네에게 손찌검을 한다. 출장이 잦은 남편으로 인한 외로움, 이웃집 엄마들과의 비교도 미즈키와 아야네 모녀 사이의 긴장을 부추기는 요인들이다.

영화는 아동 학대라는 사회적 문제를 자극적으로 부각시켜 관객들의 분노를 조장하거나 불편하게 만들기보다 그 원인과 현상을 조금씩 들춰내면서 차분히 해결책을 모색한다. 피해자로서의 아이들뿐 아니라 가해자로서의 아이들, 대물림되는 폭력의 잔인함과 그에 대한 어른들의 입장까지도 반영된 다수의 시점이 무리 없이 어우러지며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일본 감독의 재능이 느껴진다. 꽤 넓게 난립해 있던 상황들을 소소한 일상의 위로로 척척 정리해 나가는 솜씨도 나쁘지 않다. 특히 그 위로의 매개가 하나같이 아이들이라는 점은 영화의 주제와 지향점을 정확히 짚어 준다.

학교 일로 잔뜩 지쳐 있던 오카노는 조카의 따뜻한 포옹 한 번에 피로를 잊게 되고, 미즈키 모녀는 유사한 경험이 있는 이웃집 엄마 오오미야에게서 큰 위안을 얻는다. 자폐아를 키우는 부모의 힘겨움, 전쟁에서 어린 동생을 잃었던 할머니의 아픔이 자녀와의 소통을 통해 상쇄되고 회복되는 훈훈한 풍경도 펼쳐진다. 이들 모두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은 곧 공동체에 대한 찬가로 발전해 뭉클한 감정선을 오랫동안 끌어 나간다. 흉흉한 소식들 가운데서도 어른과 어린이가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계속 꿈꾸게 만드는 작품이다. 전체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