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 같은 현실, 현실 같은 환상

스티그 비에르크만과의 대담에서 우디 앨런은 말한다. “만일 내 영화들에 어떤 큰 주제가 하나 있다면 그건 현실과 환상 간의 거리일 거라고 이야기되어 왔습니다. 그건 내 영화에서 자주 제기되는 문제죠. 그걸 요약한다면 결국 내가 현실을 미워한다는 것으로 귀착됩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현실이야말로 우리가 맛있는 스테이크 요리를 먹을 수 있는 유일한 장소 아닙니까? … 난 내 영화 속에서 늘 이상화된 삶의 위대함, 또는 환상과 괴로운 현실 간의 대결에 대한 느낌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느낍니다.”(‘우디가 말하는 앨런’, 이남 옮김, 한나래, 1997)

이 책이 출간된 지 벌써 20여년이 지났다. 하지만 이 당시 앨런이 언급한 영화론은 그의 47번째 연출작 ‘카페 소사이어티’에도 유효하게 적용될 것 같다. 제목부터 그렇다. ‘cafe society’는 고급 나이트클럽에 드나드는 상류층 인사들을 뜻한다. 여기에 모인 이들은 화려한 환상을 향유한다. 거기에 매혹된 많은 사람이 그곳에 모여든다. 그들은 자기 일에서 성공을 거둬 카페 소사이어티의 일원이 되기를 원한다. 뉴욕에서 이냥저냥 살다 할리우드로 온 바비(제시 아이젠버그)도 마찬가지다. 그는 지금 본인이 처한 비루한 현실을 어떻게든 탈출하고 싶어 한다.

그렇게 하려면 현실에서 환상으로 자신을 끌어올려 줄 조력자가 필요하다. 바비는 삼촌 필(스티브 카렐)만 믿고 있다. 그는 유명 에이전시 대표로 할리우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물이다. 그러나 필은 바비를 심부름꾼 정도로만 부린다. 바비는 할리우드 카페 소사이어티의 문턱―환상과 현실 사이에 걸쳐 있다. 그와 같은 처지에 놓인 사람이 필의 비서 보니(크리스틴 스튜어트)다. 그녀도 바비처럼 환상을 좇아 이곳에 왔지만, 할리우드 카페 소사이어티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경계인이라는 점에서 보니와 바비는 동류다.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진다.

보니와 바비가 결혼을 약속할 무렵, 두 사람은 가혹한 상황에 맞닥뜨린다. 환상과 현실을 놓고 선택을 해야 하는 것이다. 보니는 환상을 따르기로 결정하고 바비와 헤어진다. 바비로서는 현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그는 뉴욕으로 돌아간다. 그렇지만 앞서 밝힌 대로 앨런은 환상과 현실의 거리를 문제 삼을 뿐, 양자를 대립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때에 따라 환상과 현실은 멀어지기도 하고 겹쳐지기도 한다. 전작 ‘미드나잇 인 파리’가 예증하듯, 앨런의 특기는 환상과 현실이 식별 불가능한 지점에서 발휘된다. 그러니까 어쩌면 보니가 고른 것이 환상 같은 현실이고, 바비가 고른 것이 현실 같은 환상인지도 모른다. 앨런의 말마따나 인생도 인생만의 계획이 있을 테니까. 14일 개봉. 15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