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구 없는 남북한… 우리 모두는 잠재적 범죄자다

남북한은 예외적인 나라다. 세계사의 관점에서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가령 역사서는 1950년대를 냉전기로 기술한다. 그렇지만 한반도는 한국전쟁-열전을 치렀다. 또한 역사서는 1990년대 이후를 탈냉전기로 서술한다. 하지만 한반도에서 냉전이라는 구시대 명사는 현재진행형 동사로 쓰이고 있다. 이처럼 예외적인 상황에 처해 있는 남북한은 항시 비상 상태다. 우리나라는 좋은 나라인데 무슨 허튼소리냐고 누군가 반문한다면, 1960년 10월 김수영이 쓴 시 ‘김일성 만세’를 보여 주고 싶다.

김일성 찬양이 아니라, 한국의 (언론) 자유를 문제 삼는 작품이다. 그는 이 시를 ‘잠꼬대’라는 제목으로 바꿔 발표하려 했으나, 결국 어느 지면에도 싣지 못했다. 그로부터 반세기가 지났다. 그러나 지금도 “김일성 만세”라는 구절이 들어간 이 시를 불온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바로 그런 위화감을 갖는다는 것 자체가 오늘날 남한이 비상 상태임을 증명하는 단적인 사례다. “이승만 만세”를 절대 용인할 수 없는 것은 북한도 마찬가지다. 대립적 이념을 내세우지만 실상 남북한은 적대하며 공생하는 관계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치술은 같다. 두 나라는 자국민을 ‘포함하는 동시에 배제하는 방식’으로 폭력적 체제를 유지한다. 이런 국가의 국민으로 살아가며 사람들은 고통받는다. 이것은 김기덕 감독의 스물두 번째 영화 ‘그물’이 전하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북한 어부 남철우(류승범)는 배의 엔진이 고장 나 남한으로 떠내려 온다. 그는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힌다. 하나 남철우의 진술과 상관없이, 남한의 국가정보원 조사관들(김영민 등)은 그를 간첩으로 몰아 다그친다. 남철우는 가까스로 집으로 돌아가게 되지만, 이번에는 북한의 국가안전보위부 조사관들이 그를 닦달한다.

‘비상 상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는 삶이다. 억압받는 자들의 전통이 그 사실을 알려준다.’ 문예비평가 발터 베냐민의 말이다. 여기에 비춰 보면 남철우가 겪은 수난은 그만의 아픔이라고 할 수 없다. 당장 수사기관에 끌려가 문초당하지 않는다고 해도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비상 상태에서는 모든 사람이 잠재적 범죄자이기 때문이다. 남북한 양쪽에서 남철우는 죄인 취급을 받는다. 소설 ‘광장’(1960)의 주인공 이명준이 맞닥뜨린 현실은 아직 그대로다. 예나 이제나 남북한 다 출구 없이 닫힌 사회라는 뜻이다.

남철우는 총 든 권력을 쏘아보며 참을 만큼 참았다고 절규한다. 정말 오랫동안 우리는 꾹 참아 왔다. 더는 인내심을 가져서는 안 될 것 같다. 국가가 가만히 있으라고 해도, 국민이 가만히 있지 말아야 한다. 온 힘을 다해 발버둥질해야 비상 상태의 그물이 찢긴다. 6일 개봉. 15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