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이 현실인 듯 현실이 꿈인 듯 뜨내기 인생이여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헤어지는 일을 인생이라고 하는 것 같다. 회자정리이니 과연 덧없는 삶이구나 싶지만, 덧없음을 덧없어 하며 사는 일도 인생이라고 하는 것 같다. 그런 인생을 함의한 단편이 작가 이상이 죽기 반년 전 발표한 ‘봉별기’다. 제목 그대로 나와 금홍이 만나고(逢) 헤어진(別) 사정을 기록한(記) 작품이다. 소설은 이별주를 마신 금홍이 노래 부르는 것으로 끝난다. “속아도 꿈결 속여도 꿈결 굽이굽이 뜨내기 세상 그늘진 심정에 불 질러 버려라 운운”하는 가사다. 속이는 사람도 속는 사람도 꿈을 꾸는 어렴풋한 동안만 산다. 그러니까 우리는 어차피 세상의 뜨내기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영화 ‘춘몽’
이처럼 꿈결에 떠도는 듯 사는 일 또한 인생인 것 같다고 하는 영화가 ‘춘몽’이다. ‘망종’ ‘이리’ ‘경주’ 등을 만든 장률 감독의 신작이다. 고향인 중국을 떠나 한국으로 거처를 옮긴 그는 꿈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아직도 심정은 길 떠나는 사람, 길에 계속 있는 사람의 마음이에요. 타향에서 사는 나에겐 밤에 꾼 꿈들과 현실 그러니까 밤의 꿈들이 현실에 들어올 틈이 많은 거죠.” 방랑하는 기분으로 사는 사람, 꿈과 현실이 뒤섞이는 경험을 하는 사람이 장률만은 아닐 것이다. 앞에 쓴 대로 우리가 세상의 뜨내기인 한에서, 다들 꿈이 현실인 양 현실이 꿈인 양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일장춘몽이다.

‘춘몽’에서는 어떤 신(scene)이 꿈인지 현실인지 명확히 구별되지 않는다. 흑백으로 찍어서 더욱 그렇다. 영화는 도로 반사경―거울에 비친 인물을 카메라가 비추며 시작한다. 꿈과 현실, 재현과 실재가 서로 반영한다는 암시가 오프닝에 녹아 있다. 연기자들도 실제 본인의 이름으로 영화에 출연한다. 배우 한예리·양익준·박정범·윤종빈은 극 중 예리·익준·정범·종빈을 연기한다. 자기가 자신과 불일치하는 아이러니 형식은 꿈과 현실이 구분 불가능하다는 ‘춘몽’의 내용과 맞닿는다. 이것이 (내적) 개연성을 찾기 힘든 영화가 (외적) 개연성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춘몽’은 구체적으로 무슨 이야기를 풀어놓을까.

티격태격하지만 늘 함께 다니는 익준·정범·종빈이 ‘고향주막’을 운영하는 예리와 알콩달콩하게 지내는 일상이다. 영화는 흡사 네 칸 만화 같다. 동일한 인물들이 펼치는 다양한 에피소드가 ‘춘몽’의 서사를 구성한다. 그래서 가벼운 유머와 재치가 있다. 진지한 깊이는 상징적 행위가 담당한다. 이를테면 예리가 골목에 버려진 커다란 옷장 안에 들어가 기도를 한다든가, 뜬금없이 춤을 춘다든가, 이백의 시를 읊는다든가 하는 행동들이다. 이런 그녀의 언행은 금홍이가 부른 노래를 실천한 것인지도 모른다. 속아도 꿈결, 속여도 꿈결, 굽이굽이 뜨내기 세상. 에라, 그늘진 심정에 불 질러 버리자! 전부 한바탕 봄꿈이다. 13일 개봉. 15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