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가버나움’

영화 ‘가버나움’
회개하지 않는 자들의 도시에 화가 닥칠 것이다. 예수는 가버나움을 가리켜 단언한다. 이곳에서 그는 기적을 행하며 복음을 전했다. 하지만 가버나움 주민들의 태도는 바뀌지 않았다. 기적은 신기한 요술에 불과하고 복음은 지루한 교훈일 따름이었으니까. 이후 예수의 예언은 진짜 실현됐다. 몇 세기가 지나 가버나움은 몰락했다. 기독교인이라면 이를 신의 심판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나는 좀 다르게 생각했다. 어떤가 하면 본인의 죄를 뉘우치지 않은 그곳 주민들 스스로가 가버나움을 무너뜨린 거라고 말이다.

이런 단계다. ‘죄는 부조리를 낳는다. 부조리는 체제와 윤리를 마비시킨다. 마비된 체제와 윤리가 공동체를 깨뜨린다.’ 한데 가버나움 주민들은 회개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회개하지 못한 것일지도 모른다. 회개도 뭘 잘못했는지 알아야 한다. 죄를 지었음에도 그것이 자신에게 죄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회개할 수 없다. 타락이 별 게 아니다. 잘못에 대한 무지와 무감각이 우리를, 우리가 사는 세계를 계속 나쁘게 만든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나딘 라바키 감독은 레바논 빈민가가 배경인 이 영화의 제목을 ‘가버나움’이라고 붙였을 테다.

주인공은 열두 살 정도로 추정되는 소년 자인이다. 그의 나이를 어림짐작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출생신고가 안 된 탓이다. “우린 그냥 벌레야. 서류 없는 삶을 인정하고 살든지, 창밖으로 뛰어내리든지 둘 중 하나야.” 자기 신분을 증명할 만한 서류를 달라는 자인에게 아버지는 이렇게 목소리를 높인다. 양육 능력이 없음에도 아이들을 줄곧 낳기만 하는 부모. 그래서 자식에게 정규 교육 대신 험한 일을 시키는 부모. 열한 살 딸을 동네 청년에게 신부로 팔아버린 부모. 그런데도 왜 죽을 힘을 다해 사는 우리를 비난하느냐고 항변하는 부모.

이들이 바로 회개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회개하지 못하는 가버나움의 주민이다. 그들 말고 또 있다. 난민을 불법 체류자로 유린하는 자들이 그렇다. 잘못에 대한 무지와 무감각이 여기에 득시글댄다. 그러나 레바논 빈민가만 가버나움이 아니다. 이 영화를 보면 어쩐지 그런 마음이 든다. 잘못에 대한 무지와 무감각은 한국에도 만연해서다. 사방에서 비명이 터져 나오는데 정작 회개하는 사람은 드물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예수가 제자들에게 묻는다. 실로암의 탑이 무너져 죽은 사람들이 예루살렘 주민보다 더 많은 죄를 지은 듯싶으냐고. 제자들이 침묵하자 그가 답한다. “그렇지 않다.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그렇게 망할 것이다.”(누가복음 13:5) 새삼 예수의 경고를 되새긴다. 다만 회개를 신으로의 귀의, 하나로만 해석하지 않을 뿐이다. 회개는 잘못에 대한 지(知)와 감각을 새로 찾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가버나움’을 통해 나는 다시 회개를 배웠다. 망하기 싫어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