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1957년 초연된 이후 뮤지컬계에서 고전 반열에 올랐다. 그럴 수 있었던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만 언급하자. 첫 번째는 익숙함과 신선함의 조화다. 이 작품은 중세 이탈리아 베로나를 배경으로 한 ‘로미오와 줄리엣’을 1950년대 미국 뉴욕으로 옮겨 놓은 이야기다. 앙숙인 가문의 남녀가 첫눈에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뿌리 깊은 가문 간의 불화는 이제 막 시작한 연인이라고 해서 비껴가지 않는다. 복수와 오해가 불러온 죽음은 두 사람을 영영 갈라놓는다. 이와 같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비극은 호소력이 짙다. 그래서 다들 익숙하다고 느낀다.

이런 익숙함을 계승하되,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당시 현실에서 불거지던 실제 갈등을 집어넣었다. 원주민과 이주민의 충돌이다. 제트파로 불리는 뉴욕 하층 토박이 집단과 샤크파로 불리는 뉴욕 하층 이민자 집단은 서로의 존재를 용납하지 못한다. 극단적 대립이 1950년대 미국에만 나타날 리 없다. 관객은 본인의 상황을 거기에 이입해 신선하다고 느낀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가 뮤지컬계의 고전이 된 두 번째 연유는 감정을 고조시키는 노래와 시선을 사로잡는 춤에 있다. 이 작품의 작곡은 레너드 번스타인, 작사는 스티븐 손드하임, 안무 겸 연출은 제롬 로빈스가 맡았다. 당대 드림팀이 뭉쳤다는 뜻이다.

우여곡절이 없지 않았으나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뮤지컬계의 고전이 됐고, 1961년 영화로 제작돼 아카데미 작품상까지 거머쥐었다. 빼어난 원작을 리메이크 영화로 만드는 작업은 위험 부담이 크다. 원작과의 비교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개 리메이크작이 진다. 그런데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스티븐 스필버그가 만들었다고 하면 사정이 달라진다. 그는 평단과 대중 둘 다 만족시킬 수 있는 몇 안 되는 감독 중 한 명이다. 처음 찍는 뮤지컬 영화라고 해서 그의 솜씨가 사라지지는 않는다. 정말로 스필버그는 원작을 이어받는 동시에 특색 있게 변주한 21세기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탄생시켰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주인공 토니와 마리아에 신예 배우인 앤설 엘고트와 레이철 지글러를 캐스팅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는 주요 배역 중 하나로 이들의 조력자 발렌티나(리타 모레노)를 추가했다. 이는 원작의 아저씨 캐릭터 닥을 변용한 것에 그치지 않았다. 발렌티나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에서 너무 적게 등장하는 여성 인물의 빈자리를 메웠고, 아저씨 캐릭터 닥이라면 부를 수 없었을 노래 ‘섬웨어’(Somewhere)를 마침맞게 열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는 이 영화가 원작보다 못하다고 불평할지도 모르겠다. 아마 주연 배우들의 무대 장악력이 부족하다는 까닭일 것이다. 동의하기 어렵다. 최고는 아닐지라도 그들은 최선의 연기를 선보였다. 좋았던 과거에만 머물러 있으면 새로운 현재의 가능성은 생겨나지 않는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