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협정 발효 15분을 남기고 전장으로 내몰리는 파울 보이머(펠릭스 캄메레르)의 이 표정이 ‘서부전선 이상없다’의 모든 것을 함축한다.<br>
전쟁이 얼마나 참혹한지 누구나 머리로는 다 알고 이해한다. 하지만 참호 속 진탕에 굴러본 사병들과 그들의 생사 여탈권을 쥐고 있는 장군들과 장교들은 천양지차로 느낌이 다를 것이다. 휴전협상을 하는 정치인들과 장군들도 마찬가지로 사병들이 겪는 참상의 심연을 짐작조차 못할 것이다. 승전국과 패전국 영화 제작진이 이를 스크린에 옮기는 데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고,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1929년 소설 ‘서부전선 이상없다’는 곧바로 이듬해 러시아 출신 미국 감독 루이스 마일스톤이 스크린으로 옮겨 제3회 아카데미 최우수작품상을 거머쥘 정도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1979년 영국 감독 델버트 만이 연출한 두 번째 TV 영화까지 전쟁영화의 고전이란 칭송을 들을 만했다.

지난 28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는 같은 원작의 세 번째 영화화 작업으로 독일 감독 에드바르트 베르거(52)가 연출했다.

장군들의 감언이설에 넘어가 씩씩하게 나이를 속이고 자원 입대한 열일곱 살 소년 파울 보이머의 참호 속 분투를 충실하게 따라가는 영화는 앞선 두 작품에 견줘 처음으로 독일어로 제작된 컬러 영화란 점이 다르다. 승전한 국가의 시각과 입장이 아니라 패전 독일의 상처를 적나라하게 담아내자는 감독의 연출 의미도 값어치 있다.

촬영 기법의 발전 덕에 1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에 형성됐던 지루한 참호 전투, 전쟁 내내 겨우 몇㎞를 내줬다 되찾고, 다시 내주는 어처구니없는 실상을 실감나게 보여준다. 영화 ‘레버넌트’와 ‘1917’를 연상케 하는 롱테이크 장면들이 인상 깊다. 파울과 전우들이 참호에서 빠져나와 적의 참호에 뛰어드는 모습을 담은 영상미가 처연하기만 하다. 파울과 전우가 양민 농가 담을 넘어 거위를 훔쳐 함께 들판을 내달려 달아나는 장면, 1918년 11월 11일 오전 11시 휴전협정 발효 15분을 남기고 협정을 무시하라고 재촉하는 장교들에 떠밀려 죽음의 구렁텅이에 빠져드는 젊은 사병들의 죽음 등 뇌리에서 쉬 떨쳐내기 힘들 영상들이 적지 않다.

그런데 이런 모든 것들보다 기자가 주목한 것은 소음이나 굉음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독특했던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OST)이었다. 파울을 비롯한 병사들의 고통과 한, 분노의 응어리를 총성인지 포성인지 아니면,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1번 4악장에 나오는 피아노의 벼락 같은 세 차례 타건을 연상시키는 충격음 등이 회오리치는 것이었다. 어쩌면 을씨년스럽고 살풍경한 전장과 전투 장면보다 시종일관 흐르던 음산한 음률이 오히려 더 오래 몸서리치게 만들 것 같았다.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폴커 베르텔만(56), 예명 하우슈카가 음악을 맡았는데 더스틴 오핼러런과 공동 작업한 영화 ‘라이언’(2016)이 전작이었다. 

베르거는 미국과 영국 감독들이 전쟁영화를 만들면 어쩔 수 없이 승자의 관점에 빠져 영웅주의를 드러내는 일을 피할 수 없다면서 자신은 많은 독일인들에게 드리운 상실과 부끄러움을 알려주고 싶었다고 털어놓았다. “두 차례 세계대전을 논하면 독일인으로서 역사의 일부분이었다는 사실을 자랑할 것이 하나도 없다. 오로지 죄책감, 공포, 두려움, 그리고 과거에 대한 깊은 책임감 뿐이다. 그것이 내 안에, 우리 아이들의 안에 있다.”

소설이 출간된 지 얼추 100년이 돼가는 시점에 왜 다시 영화를 만들어야 했을까? 베르거 감독은 “난 민족주의 움직임에 민감한 편이다. 트럼프와 브렉시트, 헝가리와 이탈리아에서도 극우가 득세하고 있다. 해서 우리 모두를 100년 전 재앙으로 이끌었던 일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조국과 나라, 민족을 지켜야 한다는 이유로 늙은이들이 뒤에서 전쟁을 결정하고 젊은이들을 총알받이로 앞세우는 일이 매한가지로 벌어지고 있는 것 아닌가 말이다.

임병선 선임기자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