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잇단 한·미FTA언급 왜

美 잇단 한·미FTA언급 왜

입력 2010-02-27 00:00
업데이트 2010-02-27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자리창출 도움… 국민 공감얻기 전략

│워싱턴 김균미특파원│올 들어 미국에서는 대통령부터 장관들과 차관보에 이르기까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진전시켜야 한다는 발언들을 봇물처럼 쏟아내고 있다.

지난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국정연설에서 한국과 파나마, 콜럼비아와의 통상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미 체결된 무역협정의 비준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강조한 뒤로 정부 고위관계자들의 한·미 FTA 발언이 부쩍 늘었다.

25일(현지시간)도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하원 외교위원회에 출석해 한국 등 3개국과의 FTA에 대한 지지 의사를 거듭 밝혔다. 드미트리어스 마란티스 미국 무역대표부(USTR) 부대표도 조지타운대 강연에서 한·미 FTA의 비준을 위해 자동차와 쇠고기 분야에서 추가 진전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워싱턴에서 한·미 FTA가 제대로 거론조차 되지 않았던 것에 비하면 엄청난 차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FTA가 정부 예산이 들어가지 않는 경기부양책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올 하반기부터 경기부양예산이 떨어지고, 2차 경기부양책 규모가 1차에 비해 턱없이 적은 상황에서 일자리를 늘릴 수 있는 대안이라는 인식이 미 행정부 내에서 확산돼 가고 있는 것은 한·미 FTA에는 분명 희소식이다.

하지만 미국 자동차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구체적인 내용보다 한·미 FTA 자동차 부문의 우려라는 포괄적 표현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kmkim@seoul.co.kr
2010-02-27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