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부근에 눈비가 자주 오는 까닭은?

공항 부근에 눈비가 자주 오는 까닭은?

입력 2011-07-01 00:00
업데이트 2011-07-01 16: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항공기 이착륙, 인공강우 효과”

공항 근처에 살면 비행기 소음 때문에 잠을 설칠 수 있다. 불편한 것은 그것만이 아니다. 눈비 때문에 우산을 쓰는 날이 많을 수도 있다.

영국 일간 데일리 메일 온라인판은 1일(현지시각) 비행기가 이착륙할 때 눈이나 비가 내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비행기가 구름을 뚫고 가는 것은 대기 중에서 얼음 결정체를 형성해 비를 내리는 인공강우와 비슷한 효과를 낸다는 것이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게재된 이 연구의 요지다.

비행기가 섭씨 영하 10도 이하에서도 작은 물방울 상태로 있는 구름을 뚫고 지나갈 때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비행기가 빠른 속도로 지나가면 날개와 프로펠러 뒤쪽의 공기는 팽창하고 급속도로 냉각된다. 응고점 이하로 냉각된 물방울은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 무수히 많은 얼음 결정체 형태로 변한다.

이 얼음 결정체는 시간이 지나면 커지고 인접한 물방울에 영향을 미쳐 구름에 구멍을 낸다. 구름에 난 구멍은 다시 몇 시간 동안 커져 지상에 눈이나 비가 내릴 확률을 높인다.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의 앤드루 헤임스필드 박사는 비행기가 이륙해 고도를 높이면서 구름에 구멍을 낼 때와 착륙할 때 수평으로 날면서 구름에 ‘운하’를 만들 때 눈비가 많이 내린다고 설명했다.

연구자들은 2007년 1월 하루 동안 텍사스주 상공에서 구멍이 나 있는 구름 사진 20장을 조사했다. 몇몇 구멍은 4시간 넘게 관측됐으며 60마일 넘게 커졌다.

연구팀은 연방항공청의 비행 자료에서 그날 4.3~5마일 높이에서 어떤 항공기가 비행했는지를 분석했고 점보제트기와 군용기, 개인용 단엔진 제트기 등이 구름에 구멍을 낼 수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비행기가 기후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작다고 설명했다.

과학자들이 비행기를 날씨와 연관 지은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올해 초 발표된 한 연구는 비행기 엔진에서 나온 수증기가 얼 때 생기는 비행기 구름이 엔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보다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더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