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돌이 극단 꼬마의 성공신화”… 中, 펑리위안 띄우기

“떠돌이 극단 꼬마의 성공신화”… 中, 펑리위안 띄우기

입력 2011-07-07 00:00
업데이트 2011-07-07 0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관지 ‘환구인물’ 14쪽 걸쳐 성장과정 다뤄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발행하는 격주간지 환구인물이 시진핑(習近平·58) 국가부주석의 부인 펑리위안(彭麗媛·49)을 최근호 커버스토리로 올렸다. ‘펑리위안의 새로운 임무’라는 제목으로 무려 14페이지에 걸쳐 그녀의 현재와 과거를 여러 장의 사진과 함께 세밀하게 조명했다. 시 부주석이 후진타오 주석의 뒤를 이어 내년에 중국 최고지도자에 오르면 펑리위안은 ‘퍼스트레이디’가 된다.

이미지 확대




●야학 교장·극단원 집안의 장녀

지난달 그녀가 세계보건기구(WHO) 결핵 및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 예방 친선대사로 임명되면서 활발하게 공익 활동에 나선 것을 계기로 한 기사이긴 하지만 이례적인 커버스토리 조명은 ‘펑리위안 띄우기’로 해석된다. 환구인물은 특히 중국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펑리위안의 성장 과정 등 개인적 배경도 상세히 다뤘다.

중국의 대표적 민족 성악 가수인 펑리위안은 현역 인민해방군 소장(준장)이다. 총정치부 가무단 예술 책임자로 무대에 오를 때면 군복을 입는다. 지난달 2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공산당 창당 90주년 경축 연회에서도 그녀는 군복을 입고 나와 특유의 고음으로 ‘홍색가요’를 불러 젖혔다.

펑리위안은 산둥성 윈청(郓城)현의 시골 펑씨 집성촌 출신이다. 어릴 땐 리리(麗麗)로 불렸다. 아버지 펑룽쿤(彭龍坤)은 당시 몇 안 되는 고졸 학력의 ‘지식분자’로 마을 야학의 교장을 지냈고, 어머니는 현 극단의 단원이었다. 펑리위안은 3남매의 장녀로, 어린 시절 늘 어머니와 함께 극단의 마차를 타고 다니며 순회공연을 지켜봤다. 아버지가 문화대혁명 때 당적에서 제명돼 ‘노동개조’를 당했고, 펑리위안은 어머니와 함께 시골로 쫓겨 갔다는 얘기도 있지만 이 부분은 환구인물이 서술하지 않았다. 다만 ‘어린 시절 극단 마차를 타고 사방을 떠돌아다니며 먹다 굶다 했다’며 힘겨운 어린 시절을 보냈다는 사실은 강조했다. 환구인물에 따르면 아버지는 2009년 베이징에서 사망했고, 어머니는 자녀들과 함께 여전히 베이징에 거주하고 있다.

●90세 공산당 연회서 군복입고 공연

 어릴 때부터 가무를 가까이했던 펑리위안은 문화대혁명 직후인 1977년 학생 모집을 재개한 산둥성의 ‘5·7 예술학교’ 전문부(고등학교 과정)에 합격하면서 본격적으로 예술가의 길을 걷게 된다. 전공을 고음의 민족 창법으로 정하고 3년간 매달린 끝에 1980년 베이징에서 열린 전국 민족 창법 경연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올렸다. 같은 해 지난(濟南)군구 전위가무단에 특채됐고, 베이징 중국음악학원 연수길도 열렸다. 중국음악학원에서 진톄린(金鐵林) 선생을 만나 피나는 연습 끝에 1982년 최고 권위인 중국중앙(CC)TV 춘제(春節·설) 경축 공연에 출연해 ‘희망의 들판 위에서’ 등 2곡을 불러 수억 명의 관객들과 첫 대면을 했다.

 1984년 총정치부 가무단으로 옮겨 각종 무대에 등장했고, 1990년에는 중국 최초의 민족 성악 전공 석사가 됐다. 환구인물은 그녀가 1985년 승리유전 등 각종 공사 현장과 군부대 순회 공연을 다니던 시기를 설명하며 “어떤 이들은 수십만, 수백만 위안을 벌어들일 때 펑리위안은 음악에 대한 자신의 꿈을 지키며 수백 위안의 월급을 받았을 뿐”이라고 추어올렸다.

 당시 푸젠성 샤먼(廈門)시 부시장이던 시진핑과는 1986년 말 친구의 소개로 베이징에서 만났다. 외모를 중시하는지 알아보려고 일부러 첫 만남 때 헐렁한 군복 바지 차림으로 나갔지만 시 부주석 역시 소박한 차림이어서 일단 마음에 들었다. 게다가 시 부주석은 “요즘 유행하는 노래는 무엇이냐. 출연료가 얼마냐.” 같은 ‘속물적’ 질문 대신 “성악 창법에는 어떤 종류가 있느냐.”며 자신의 전공에 깊은 관심을 담은 질문을 던져 펑리위안의 마음을 움직였다. 시 부주석은 나중에 “첫 만남은 40분밖에 안 됐지만 벌써 아내로 점찍었다.”고 토로한 바 있다. 1987년 9월 1일 시 부주석의 전화를 받은 펑리위안은 곧바로 샤먼으로 날아가 사진을 찍고, 결혼 등기를 하는 것으로 간단히 결혼 절차를 마쳤다.

 두 사람 사이에는 1993년 태어난 무남독녀 시밍쩌(習明澤)가 있다. 환구인물은 두 사람이 딸을 특별하게 키우고 싶지 않아 일반인들과 함께 공부하도록 해 항저우(杭州) 외국어학교에서 공부했다고 보도했다.

●시 부주석과 불화설은 언급 안 해

하지만 시밍쩌는 지난해 하버드대로 진학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구인물은 시 부주석의 첫 번째 결혼, 두 사람 사이의 불화설 등은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펑리위안은 30살 때부터 중국의 국정자문기구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기도 하다. 환구인물은 그녀가 아동과 관련된 많은 의안을 제출했으며 에이즈 예방 등 공익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펑리위안이 중국의 퍼스트레이디가 된다면 후 주석의 부인인 류융칭(劉永淸) 여사 등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던 중국의 전통적인 퍼스트레이디상과는 다르게 왕성한 활동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부인인 미셸 오바마,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의 부인인 카를라 브루니 못지않은 대중적 인기를 끌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7-07 1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