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도범, 부자가 더 많다”

“절도범, 부자가 더 많다”

입력 2011-07-08 00:00
업데이트 2011-07-08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타임 인터넷판 “양심 가책도 적어”

“절도는 경제적인 이유로 저지르는 게 아니다. 경제적으로 덜 쪼들리는 이들이 가난한 사람들보다 상점에서 물건을 더 많이 훔친다.”

타임 인터넷판은 6일(현지시간) “상점에서 물건을 훔치는 사람들 가운데 한 해 7만 달러(약 7400만원) 이상을 버는 사람이 2만 달러 이하를 버는 이들보다 30%나 많았다.”고 전했다.

타임은 레이철 시테어의 ‘도둑질’이란 신간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면서 미국에서 상점 절도로 해마다 300억 달러(약 31조 9000억원) 이상 피해를 보고 있지만 여러 이유로 별다른 근절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타임은 상점에서 물건을 훔치는 행위를 근절하기 어려운 이유로 절도범이 소소한 물건들을 훔치는 데다 직업적인 도둑이라기보다는 아마추어인 경우가 많아 사법 처리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상점에서 물건을 훔치는 사람들이 양심에 거리낌을 느끼지 않는 것도 절도가 근절되지 않는 요인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유명 배우 위노나 라이더가 2001년 베벌리힐스의 한 상점에서 7600달러어치의 옷과 액세서리를 훔쳐 현장에서 체포됐지만 “사람을 해친 것도 아닌데 뭘….”이라며 죄책감을 느끼지 않은 것도 한 예로 꼽힌다.

레이철 시테어는 자신의 책에서 부자들이 상점에서 물건을 몰래 훔치는 것은 분노와 당당함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남의 물건에 손을 대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큰 차원에서 경제적 음모에 희생되고 억울함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이러한 억울함을 푸는 대상으로 상점과 물건들을 겨냥한다고 풀이했다.

또 개인들은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고, 상점들에 대해선 서민들을 벗겨 먹는 ‘날강도’라고 느끼는 정서도 절도를 정당화하는 심리적 기반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이들은 유명 인사들과 부자들의 사치와 부를 보면서 자신들의 행위에 대해 죄책감을 덜 느끼게 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타임은 경제적으로 넉넉한 이들은 상점에서 절도를 저지르고도 대부분 처벌받지 않아 상습 들치기범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석우기자 jun88@seoul.co.kr

2011-07-08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