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美 우주왕복선시대 막 내렸다

30년 美 우주왕복선시대 막 내렸다

입력 2011-07-22 00:00
업데이트 2011-07-22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애틀랜티스호 마지막 귀환

미국 항공우주국(나사)의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이 21일(현지시간) 애틀랜티스호의 귀환으로 30년 만에 막을 내렸다. 이날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지 42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인류 첫 달착륙 42주년 되는 날

애틀랜티스호는 지난 8일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돼 12일간 국제우주정거장 내 실험실의 작동에 필요한 부품과 보급품을 수송하는 등 마지막 임무를 수행했다.

크리스 퍼거슨 선장과 더그 헐리 미 해병대 대령 등 4명의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왕복선의 마지막 역사를 써내려 갔다고 현지 외신들은 전했다.

나사 관계자는 “우주를 향한 도전의 한 시대가 마감됐다.”면서 “이제 우주왕복선은 인류의 우주 개척사를 상징하는 역사적인 유물로 남게 될 것”이라고 소회를 밝혔다.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은 1981년 4월 12일 우주비행사 2명을 태운 컬럼비아호 발사를 시작으로 본격 궤도에 올랐다.

애틀랜티스호의 이번 임무는 135번째이자 마지막 비행이었다. 지금까지 프로그램에는 컬럼비아호와 챌린저호, 디스커버리호, 애틀랜티스호, 인데버호 등 5대가 참여했다.

●세계각지 애호가 기념품 확보 경쟁

우주왕복선 시대가 쾌거와 영광의 기억으로만 남는 것은 아니다. 최초의 왕복선인 컬럼비아호는 2003년 지구로 돌아오다 폭발했고, 챌린저호는 1986년 발사된 지 73초 만에 공중 폭발했다. 두 사고에서 각각 7명씩의 우주비행사 전원이 희생됐다. 퇴역 우주왕복선들은 앞으로 지상에 마련된 전시장에서 일반 관광객들을 맞는다.

디스커버리호는 스미스소니언의 국립항공우주박물관 별도 전시장인 스티븐 우드바르 하지 센터에 9월부터 전시된다. 애틀랜티스호는 우주왕복선 발사 장소인 케네디 우주센터에, 인데버호는 로스앤젤레스의 캘리포니아 과학센터에 둥지를 튼다.

한편 우주왕복선 시대가 마감되면서 우주선 전용 경매 사이트에 세계 각지의 수집 애호가들이 몰리고 있다.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골드버그 옥션에는 애틀랜티스호가 마지막 비행에 나선 직후 수백명의 수집가들이 몰려들어 우주에서 가져온 각종 잔해나 우주비행사의 자필 사인, 기념 메달, 나사의 비공식 사진물 등 역사적인 유물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USA투데이는 “적게는 수십 달러에서 많게는 50만 달러까지 가격이 치솟고 있다.”고 보도했다.

박찬구기자 ckpark@seoul.co.kr
2011-07-22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