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왜 펄쩍 뛰는지…

일본이 왜 펄쩍 뛰는지…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원인 발표 못믿겠다” 아사히 등 민감한 반응

일본 언론이 24일 중국의 고속열차 추락 사고를 1면 톱 기사와 관련 박스 등으로 대서특필했다. 일본이 이처럼 중국의 열차사고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최근 양국 간에 불거진 신경전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중국은 지난 1일 베이징~상하이 구간에 개통한 고속철 ‘CRH380A’를 자국의 독자적인 기술로 만들었다며 미국 등에 특허신청을 추진중이다.

이미지 확대
이에 일본은 중국의 고속철은 중국 국영 철도업체인 중궈난처(中國南車)가 일본 가와사키중공업의 기술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라며 맞대응하겠다고 감정싸움을 벌였다.

아사히신문은 이번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며, 중국 고속철도의 차량과 운행시스템이 분리된 데 따른 사고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팬터그래프(전기기관차 등의 집전장치)의 손상 등 차량 자체의 문제 또는 운행 시스템의 문제를 제기했다. ‘벼락으로 인한 사고’라는 중국의 발표를 믿지 않는 분위기다.

한편 사고 당시 부상자들의 글이 트위터 등에 즉시 공개돼 그나마 구조작업이 신속히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취안취안양(@洋圈圈洋)이라는 계정을 쓰는 부상자는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에 “살려주세요. 둥처(動車) D301호가 원저우(溫州) 역에서부터 멀지 않은 곳에서 탈선했습니다. ”라며 구호를 요청했다. 이 구조 메시지는 바로 누리꾼들에 의해 9만 4000회 이상 전달되며 인터넷을 통한 구호 지원 활동이 진행됐다.

도쿄 이종락특파원·서울 박성국기자

jrlee@seoul.co.kr

2011-07-25 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