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을 잡아야 퇴임 후가 든든하다?

軍을 잡아야 퇴임 후가 든든하다?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공산당 및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인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임기 막바지에 군 장악을 가속화하고 있다. 후 주석은 자신의 군내 측근 위주로 중장 6명을 최고 계급인 상장(대장급)으로 진급시키고 23일 중앙군사위 명의로 승진기념식을 거행했다.

이번에 승진한 6명은 쑨젠궈(孫建國)·허우수썬(侯樹森)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 자팅안(廷安) 총정치부 부주임, 류샤오장(劉曉江) 해군 정치위원, 장여우샤(張又俠) 선양(瀋陽)군구 사령관, 리창차이(李長才) 란저우(蘭州)군구 정치위원이다. 이들 가운데 자팅안 부주임을 제외한 5명이 ‘후 주석의 사람들’로 분류된다. 실제 류샤오장 정치위원은 후 주석을 발탁한 후야오방(胡耀邦) 전 총서기의 사위이다. 베이징의 군사 전문가들은 “후 주석이 내년 권력재편 이후에도 군내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번 승진인사를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차기 해군사령관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쑨젠궈 부총참모장 등 일부 장성은 중앙군사위원으로 선임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이번 승진으로 중국 군내 현역 상장은 56명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후 주석이 임명한 상장은 모두 39명이다.

후 주석이 군 장악력을 높이고는 있지만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의 영향력도 여전하다. 이번에 승진한 6명 가운데 자팅안 부주임은 20여년간 장 전 주석의 비서를 역임했다.

후 주석이 임기를 1년 남짓 남겨 놓은 상황에서 군 장악력을 높이는 것이 임기만료 이후에도 중앙군사위 주석직을 2년여간 넘겨주지 않았던 장 전 주석의 ‘전례’를 따르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이 공산당 총서기와 국가주석에 오르더라도 중앙군사위 주석으로서 군을 통해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하지만 장 전 주석이 중앙군사위 주석에서 물러나면서 “이런 비정상적인 교대는 내가 마지막이 될 것”이라고 공언한 점에 비춰 보면 그런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높지 않아 보인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7-25 1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