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신화사 “백두산 ‘천지 괴물’ 또 포착”

中신화사 “백두산 ‘천지 괴물’ 또 포착”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1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두산 천지의 괴물로 추정되는 물체가 또다시 포착됐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25일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백두산 천지 괴물로 추정되는 괴물체가 한 대학생이 찍은 사진에 포착됐다. 사진을 확대한 결과 이 괴물체는 머리 부분에 2개의 뿔을 단 채 머리를 수면 위로 드러낸 형상을 하고 있었으나 전문가들은 워낙 원거리에서 찍혀 실체가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백두산 천지 괴물로 추정되는 괴물체가 한 대학생이 찍은 사진에 포착됐다. 사진을 확대한 결과 이 괴물체는 머리 부분에 2개의 뿔을 단 채 머리를 수면 위로 드러낸 형상을 하고 있었으나 전문가들은 워낙 원거리에서 찍혀 실체가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통신에 따르면 지린(吉林)성 창춘(長春)에 사는 대학생 한(韓)모 씨가 지난 22일 백두산 서쪽 정상인 서파(西坡)에서 천지 경관을 찍었는데 사진 가운데 한 장에서 물 위로 검은색 물체가 떠 있는 모습이 담겨 사진을 확대해보니 2개의 뿔이 달린 머리를 수면 위로 드러낸 형상을 하고 있었다.

지린성 천지 괴물 연구회 관계자는 “컴퓨터로 확대해본 결과 머리에 2개의 뿔을 달고 있는 모습”이라면서도 “너무 먼 거리에서 찍었기 때문에 사진에 포착된 물체가 정확히 무엇인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청나라 말기에 편찬된 ‘장백산(長白山·백두산의 중국 명칭)강지략(崗志略)’이라는 서적에 천지 괴물을 봤다는 사람들의 목격담이 실려 있는데 뿔이 달렸다는 대목이 나온다”며 “뿔이 달린 형상을 한 괴물체가 사진으로 포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언론은 해마다 ‘천지 괴물’이 사진이나 캠코더에 포착됐다는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

수년 전 지린의 발전소 직원 정(鄭)모 씨가 천지의 수면에 거대한 동심원이 생기면서 검은 물체가 수면 위아래를 오르락내리락하는 장면을 캠코더로 포착한 장면이 현지 TV는 물론 홍콩과 미국에서도 ‘천지 괴물’로 소개돼 큰 관심을 불러모았다.

지난해 9월에도 연길(延吉)에 거주하는 하(河)모 씨가 천지를 찍은 2장의 사진에 좌우 날개를 단 채 유유히 헤엄치는 듯한 모습을 한 괴물체가 포착됐다는 언론의 보도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개된 사진이나 동영상 대부분이 원거리에서 찍힌 탓에 형체가 불분명해 그 실체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하다.

과학자들은 불과 100여 년 전인 1903년에 백두산이 분화했다는 기록이 있고 천지가 연중 대부분 얼어 있어 생명체가 살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환경이라는 점을 들어 천지 특유의 자연현상이나 백두산 유역에서 서식하는 동물을 괴물로 착각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백두산 인근의 ‘장백산 박물관’에 ‘천지 괴물관’ 전시실이 마련돼 있고 연길 등에서 천지 괴물 인형을 판매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백두산 관광 마케팅을 위해 천지 괴물을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