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유럽증시 잇단 악재… 동반 하락

美·유럽증시 잇단 악재… 동반 하락

입력 2011-07-29 00:00
업데이트 2011-07-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채 협상 난항·성장세 둔화… 그리스 신용등급 추가 강등

3대 악재에 놀란 미국과 유럽 증시가 27일(현지시간) 일제히 급락했다. 미국은 부채협상이 여전히 난항인 데다 경제 성장세가 둔화됐다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베이지북 발표까지 겹쳐 200포인트가량 떨어졌다. 유럽에서도 그리스에 대한 2차 구제금융이 늦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영향을 미쳤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198.75포인트(1.59%) 떨어진 1만 2302.55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27.05포인트(2.03%) 내려간 1304.89, 나스닥 종합지수는 75.17포인트(2.65%) 하락한 2764.79를 기록했다. 연준이 이날 발표한 베이지북에서 소비지출 감소와 생산 둔화로 인해 경제성장 속도가 더 느려지고 있다고 평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게다가 다음 달 2일로 다가온 정부부채 한도 증액 문제가 공화당의 반발에 부딪쳐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것도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유럽에서도 이날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지수가 0.9% 떨어진 5874로 거래를 마쳤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지수도 7268로 1.1% 하락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지수 역시 1.4% 떨어진 3734로 거래를 마무리했다. 미국 부채협상 문제가 가장 컸지만 그리스 문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신용평가기관 S&P는 이날 무디스에 이어 그리스의 신용등급을 ‘지급 불능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CCC에서 ‘지급 불능 가능성 큼’의 CC 수준으로 2단계 더 떨어뜨렸다. 이런 가운데 무디스가 그리스 채권을 대량 보유하고 있는 키프로스의 신용등급을 강등하면서 유로권의 위기가 다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프랑스 경제 연례평가보고서에서 유럽연합(EU)에서 두 번째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프랑스가 AAA 등급을 유지하려면 향후 1~2년 안에 재정적자를 더 줄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지난달 S&P도 프랑스가 장기적인 재정 감축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신용등급이 AAA에서 강등될 수 있다고 경고, 유로권의 재정적 불안정 해결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1-07-29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