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사용자 75% 실제 생활모습 과장”

“페이스북 사용자 75% 실제 생활모습 과장”

입력 2015-10-16 15:22
업데이트 2015-10-16 15: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질투심 유발하려 자랑질로 이미지 꾸미기도


페이스북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자의 대부분이 지인들에게 자신의 삶이 더 흥미진진해 보이도록 실제 생활모습을 과장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스마트폰 제조사 HTC가 영국에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3분의 2 이상이 자신의 삶이 더 흥미진진해 보이도록 포스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에 올라온 포스팅을 보고 포스팅을 올린 사용자를 판단한다는 답변도 75%를 넘었다.

또 자신의 계정을 한층 흥미진진하게 만들기 위해 빌린 아이템이나 이미지를 마치 자신의 것인 것처럼 속인다는 사용자도 6%나 됐다.

응답자의 과반수는 친구와 친척에게 ‘자랑질’을 해 질투심을 일으키려고 아이템 이미지와 장소 등을 포스팅한다고 실토했다.

행태 심리학자인 조 헤밍스는 이런 현상이 놀라운 게 아니라며 “우리는 인스턴트 소통 시대에 살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과거 패션과 스타일은 잡지에만 있었으나 이제 소셜미디어를 신문 잡지의 대체재가 되도록 만든 다음 진짜 소통을 찾으려 한다”고 분석했다.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76%는 소셜미디어가 구매에 영향을 주고, 특히 남성의 경우 옷차림이나 상품 구매 조언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답했다.

HTC의 피터 프로룬드는 “이제는 모두가 사진사가 됐고, 사진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세상이 바뀌고 있다”면서 “자신의 집 사진에서부터 정돈된 차림의 사진에 이르기까지 이미지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를 갖는 스마트폰 사진 세상이 됐다”고 말했다.

모두가 스마트폰에 열중하다 보니 ‘퓨빙’(phubbing)이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2013년부터 쓰이기 시작한 퓨빙은 전화기 폰(phone)과 무시한다는 뜻의 영어 스너빙(snubbing)을 합친 말로, 스마트폰에 몰두한 나머지 대화 상대를 무시하거나 화나게 한 경우를 뜻한다고 데일리메일은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