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 올해 성장률 2.4%로 하향

세계은행, 올해 성장률 2.4%로 하향

입력 2016-06-08 23:12
수정 2016-06-09 01: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년 성장률 3.1%→2.8%로

美 올 1%대로 성장 둔화 전망
中은 올해·내년 성장률 유지

올해 전 세계 경제성장에 대한 세계은행의 시각이 비관론으로 더 기울었다. 내년에도 세계 경제성장률이 3%대로 올라서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다시 1%대로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세계은행은 7일(현지시간) 발표한 ‘2016 세계경제전망’ 하반기 수정 보고서에서 올해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예상치를 2.9%에서 2.4%로, 내년 예상 성장률은 3.1%에서 2.8%로 각각 낮췄다. 지난 1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주요 선진국의 성장 속도에 약간의 탄력이 생길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낙관했던 세계은행은 약 5개월 만에 선진국의 성장세가 약화됐다고 전망을 변경했다. 이에 따라 선진국의 올해 예상 경제성장률은 지난 1월의 2.2%에서 1.7%로, 내년 예상 성장률은 2.1%에서 1.9%로 각각 하향 조정됐다.

특히 미국의 올해 예상 성장률도 종전의 2.7%를 1.9%로 낮췄다. 2013년 1.5%의 경제성장률을 보였던 미국은 2014년과 지난해 각각 2.4%씩의 성장을 이어 왔다.

전체 신흥국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 역시 4.1%에서 3.5%로, 4.7%에서 4.4%로 각각 낮아졌다.

중국의 올해와 내년 예상 성장률은 6.7%와 6.5%로 지난 1월 제시한 값과 같았다. 러시아 경제가 올해 마이너스 1.2%의 성장률을 보이다가 내년에 1.4%의 성장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브라질 경제는 올해 마이너스 4.0%의 침체를 겪은 데 이어 내년에도 마이너스 0.2%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 1월 보고서에서 세계은행은 브라질 경제도 내년에는 1.4%의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은행은 국제 교역량이 올해 0.7% 포인트, 내년에도 0.4% 포인트 감소할 전망이고 선진국의 경제성장이 약화된 점을 감안해 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고 설명했다.

지정학적 위험의 부각 가능성, 전보다 더 민간부채에 취약해진 신흥국의 여건, 국제적인 금융불안 등이 세계 경제성장의 주요 위협 요인이라고 지적한 세계은행은 선진국의 지속적인 경기 침체와 신흥국의 잠재성장률 하락 때문에 보호무역주의가 심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6-06-0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