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절반 “러시아가 해킹으로 美대선 개입했다고 생각”

미국인 절반 “러시아가 해킹으로 美대선 개입했다고 생각”

입력 2017-01-18 10:16
수정 2017-01-18 1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WSJ-NBC뉴스 공동 여론조사

미국인 절반은 지난 대선에서 러시아 정부가 민주당 측에 대한 해킹을 통해 선거에 개입했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전했다.

WSJ과 NBC뉴스가 지난 12∼15일 성인 1천 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오차범위 ±3.1%포인트)에서 응답자의 51%가 러시아가 해킹으로 대선에 개입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해킹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이는 훨씬 적었다.

러시아의 대선 개입을 믿는 이들 가운데 26%만이 해킹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패배했을 것이라고 봤다. 63%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36%는 러시아 정부가 선거에 개입하기 위해 민주당 측 컴퓨터를 해킹했다고 생각했다.

또 3분의 1은 트럼프 당선인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지나치게 우호적인 관계에 있으며, 이는 미국 대통령으로서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24%는 두 사람의 관계가 지나치게 친하지는 않다고 봤다.

러시아 대선 개입 의혹을 둘러싼 견해는 지지 정당에 따라 극명하게 갈렸다.

민주당원 사이에서는 4분의 3 이상이 러시아가 대선에 개입했다고 믿는 반면 공화당원 가운데 이렇게 생각하는 응답자는 22%였다.

민주당원의 47%는 러시아의 해킹이 없었다면 민주당 대선후보였던 힐러리 클린턴이 승리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공화당에서 이 같은 의견은 5%에 불과했다.

최근 미국에서는 러시아의 미 대선개입 해킹 의혹과 관련,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당선인을 돕기 위해 대선개입을 직접 지시했다고 분석한 미 정보기관의 기밀해제 보고서가 공개되면서 파문이 일었다.

미 정부는 이미 지난 10월 대선판을 뒤흔든 민주당 이메일 해킹사건의 배후를 러시아로 공식 지목했다. 그러나 트럼프 당선인은 러시아 연관설을 줄곧 부인하다가 최근 들어서야 이를 공식 인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