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트럼프 정권 출범후 美·中관계 불안속 북·중 ‘경색’ 풀리나

트럼프 정권 출범후 美·中관계 불안속 북·중 ‘경색’ 풀리나

입력 2017-01-30 13:06
업데이트 2017-01-30 1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양 中대사관에 北 당정군 관료 ‘결집’…혈맹 확인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으로 미국과 중국 관계가 불안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춘제(春節·중국의 설)를 계기로 북한과 중국 간 ‘혈맹’을 강조하는 행사가 열려 주목된다.

우선 지난해 미국 대선 기간과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중국이 유엔 대북 제재결의 이행을 이유로 외교·경제적으로 대북 압박을 강하게 해왔던 상황을 고려할 때 평양 중국대사관 춘제 행사에 북한의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중국 측과 회동했다는 건 의미가 작지 않다.

아울러 평양의 중국대사관이 최근 개최한 춘제 리셉션과 묘회 행사에 참석한 북한 인사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4일 춘제 리셉션에 김영대 부위원장 이외에 강하국 보건상 겸 북중친선협회위원장, 이창근 북한 노동당 중앙국제부부부장, 이길성 외무성 부상, 김인범 문화성 부상, 박경일 대외문위 부위원장, 심국룡 외교단사업총국국장 등 북한노동당중앙국제부, 최고인민회의상임위원회, 인민무력성, 국가보위성, 인민보안성, 외무성, 대외경제성 등 당정군 각 부서의 총 70여 명이 모습을 드러냈다.

면면을 볼 때 노동당과 내각의 북중 관계 업무 담당자라는 점이 눈에 띈다. 중국 측이 당정군 각 부서에 초청장을 보냈고, 북한 측이 그에 응한 것으로 추론해볼 수 있으며 참석 규모로 볼 때 서로 의기투합 의지가 읽힌다.

지난 24, 25일 평양 대동강 외교회관에서 중국대사관 주재로 개최된 ‘2017 묘회’ 행사 역시 눈여겨볼 대상이다.

이 자리에 리진쥔(李進軍) 중국 대사와 대사관 직원 전체 및 가족, 단둥시 부시장, 재북 화교, 북한 주재 중국 기업들이 모두 참여했고, 북한측에선 강하국 북중친선협회위원장과 이길성 외무부 부상 등 북한 당정군 관련 부서와 기층 간부 대표 4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작년 초 북한의 핵실험 이후 북·중 관계가 냉각기를 지나온 점을 감안할 때 북한 주재 중국대사관 행사에 북한의 당정군 고위층이 대거 몰린 것은 이례적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를 두고, 여러가지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북한이 적극적으로 대중 관계 경색 해소를 모색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유엔 안보리 제재를 이유로 한 중국의 추가적인 대북 압박 조치를 차단하고 북중 관계를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북한이 중국 마음얻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특히 예측 불가인 트럼프 대통령 취임으로, 지금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 부닥칠 것으로 예상하는 북한으로선 중국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라는 점도 이런 분석에 힘을 보탠다.

춘제 행사에 참석한 북한의 김영대 부위원장은 “피로 맺어진 북·중 친선은 오래된 역사가 있고 양국 옛 지도자가 만들어 준 깊은 정은 양 국민의 공통된 재산”이라면서 “북·중 친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노동당과 정부의 확고부동한 입장으로 올해 양국이 소통과 교류, 협력을 강화하고 북·중 관계의 발전을 끊임없이 추진하길 바란다”면서 ‘혈맹’을 강조한 점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중국 역시 트럼프 미 행정부 출범 이후 북한의 ‘존재’가 필요해지는 상황이 조성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미 행정부가 남중국해, 대만 문제 등 중국의 ‘핵심 이익’에 대한 위협을 강화하는 가운데 그동안 중국 ‘편’에 서왔다고 할 러시아가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할 기미를 보이면서, 중국으로선 동아시아에서 지정학적으로 북한의 지지가 더 절실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온 트럼프 미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해제해 미국-러시아 접근이 본격화하면 북한의 전략적 필요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을 종합해보면 현 시점에서 중국은 북한에 대한 압박 일변도에서 탈피해 적절한 조치로 북한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을 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시말해 중국이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안보리의 대북제재 이행을 하면서도, 경제 분야 등에서는 북한을 포용할 조처를 할 것이라는 얘기다.

실제 중국 정부는 최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2321호 결의에 따른 이행 조치로 핵무기 등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용도 품목에 대한 대북 수출금지 리스트를 대폭 추가했으나, 이는 중국의 북핵 ‘불용’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면서도 해당 추가 품목이 ‘민생’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북한을 경제적으로 옥죄는 조치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은 그동안 북핵 문제 등과 관련해선 대북제재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도 북한 인민의 생활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해온 점을 고려할 때, 이를 명분으로 경제 분야에 대한 관계개선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리진쥔 중국대사는 춘제 행사에서 북한 고위 관료들에게 “중국의 당과 정부는 북·중 관계를 고도로 중요시하며 북한과 함께 협력을 강화하길 바라며 도전을 기회로 바꿔 양국 관계를 건강하고 안정된 발전 궤도에 이끌어 올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베이징 소식통은 “북한은 중국의 대북제재 강화로 어려움이 커지고 있어 올해 어떤 식으로든 관계 개선을 시도하려고 할 것”이라면서 “중국 또한 트럼프 취임으로 대만 문제 등 압박이 커질 것으로 보여 북한이란 카드를 쥐고 있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의 거듭 된 경고에도 북한의 ‘도발’이 이어진다면 북중 관계 개선 노력은 공염불에 그칠 공산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