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위기 고조속 주목받는 北·中 ‘강 대 강’ 대치

한반도 위기 고조속 주목받는 北·中 ‘강 대 강’ 대치

입력 2017-04-24 14:23
수정 2017-04-24 14: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환구시보-北중앙통신 대리전, ‘금가는’ 북중 서곡되나

북한 핵문제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공조가 본격화되면서 중국과 북한이 ‘강 대 강’으로 대치하기 시작했다.

오는 25일 북한 인민군 창건일을 앞두고 6차 핵실험 가능성이 제기되고 북한과 중국의 관영 매체들이 서로를 비난하는 대리전에 나서면서 ‘혈맹’ 관계는 간 곳이 없다.

중국 환구시보와 조선 중앙통신의 대리전은 북한과 중국 관계가 본격적으로 금이 가는 ‘서곡’일 가능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이미 중국은 미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중국이 북핵 해결사로 나서면서 북한을 향해 원유공급 중단, 또는 축소, 미국 선제타격시 군사대응 불개입을 시사하며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이 전략 폭격기나 특수부대 등을 동원해 전투준비 태세에 들어갔다거나 북중 접경지역에 전력을 증강하고 있다는 외신보도 내용도 잇따르고 있다.

북한을 상대로 ‘제재와 대화’ 딜레마에 처해있던 중국은 최근 급격히 고강도 대북 제재와 압박에 무게를 싣고 있다.

중국 당국과 관영 언론에서는 그동안 북한의 생명줄로 여겨졌던 원유공급 중단을 거듭 거론하기 시작한데 이어 심지어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등 일반 여론에서는 ‘북한 포기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중국의 대북관을 평가하는데 있어 중국 외교부와 환구시보의 논평 표현이나 수위가 높아진 것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학자들과 군 출신 인사가 발표하는 의견도 대북 제재로 방향을 바꾸는 바로미터 작용을 한다. 일부 학자와 중국 군내에서도 북한을 이미 ‘가상의 적’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신호를 내고 있다.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 국제전략연구소 장롄구이(張璉괴<玉+鬼>) 교수는 최근 일본의 경제지 닛케이 아시안리뷰에 “중국의 원유공급 중단은 북한의 추가 핵탄두 실험이 있을 시 취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중국은 2003년 2차 핵위기가 터지자 랴오닝성 단둥에서 신의주를 잇는 원유 공급 송유관을 고장을 핑계로 잠갔고, 2006년 1차 핵실험 때도 송유관을 통한 원유 공급량을 대폭 줄인 바 있다.

중국의 마지막 카드로 여겨지던 ‘원유공급’을 꺼내든 것은 그만큼 중국의 북핵 불용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미국과 중국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정상회담과 전화통화 외에도 양측 고위층의 긴밀한 소통 신호를 보내며 북핵 문제에 대한 밀월 관계를 과시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을 상대로 강온 양면책을 쓰면서 북한에 제대로 압박을 가하도록 채근하고 있는 중이다. 핵추진 항모 칼빈슨을 한반도 인근 해역으로 보내는 동시에 무역 측면에선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을 유보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최근 베이징-평양간 항공노선을 폐쇄하고 북한으로부터의 석탄 수송과 희귀 금속 수입을 금지하기도 했다.

이 같은 미중 공조에 의한 대북 압박에 북한은 불편한 심기가 역력하다. 최근엔 이례적으로 중국을 겨냥한 원색적인 비난논평까지 발표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1일 ‘남의 장단에 춤을 추기가 그리도 좋은가’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중국이 미국에 협조에 북한 압박을 지속하면 북중관계가 파국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 관영매체가 ‘우리 주변국’이라는 호칭을 사용해 중국을 암시하며 북중관계의 ‘파국적 후과’까지 운운하며 중국을 비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조선중앙통신은 중국의 북한산 석탄수입 전면 중단 결정 이후인 지난 2월 23일에도 ‘너절한 처사, 유치한 셈법’이라는 제목의 대(對) 중국 비난논평을 게재한 바 있다.

그러자 대북 원유공급 축소와 선별적 자동 군사개입이라는 마지노선을 제시한 환구시보는 영문판 글로벌 타임스와 함께 24일 ‘조선중앙통신사의 글에 대해 중국 관방은 계속 무시하라’는 사평(社評)을 내놓았다.

중국 지도부의 속내를 대변하는 듯한 이들 신문은 사평을 통해 북한의 6차 핵실험 시 원유공급을 제한할 것이라면서 중국의 강력한 제재 의지를 또다시 강조했다.

하지만 중국의 대북 기조가 전면적으로 바뀌었는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북한의 계속된 도발이 중국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분명하지만 동북아를 시발로 하는 대외전략 전체를 바꿔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는지는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 만큼이나 불가측성이 강한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중국에 등을 돌리고 미사일을 미국이나 일본이 아닌 중국을 겨냥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중국 전문가들 사이에도 팽배하다.

여기에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을 겪고 있는 한국도 한미일 동맹 체제를 강화하며 중국과 거리를 두기 시작한데 대해 중국이 체감하는 지정학적 불안감도 적지 않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